[기고] 한가윗날 의미 되살리기
[기고] 한가윗날 의미 되살리기
  • 관리자
  • 승인 2011.09.02 13:15
  • 호수 28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재석 대한노인회 상주시지회 외남면 분회장

음력 8월 보름날인 한가위 추석은 ‘가을 저녁’이라는 의미를 가진 우리나라 대표 명절 중 하나다. 설, 단오, 동지 등의 많은 명절이 있지만 민족 고유의 명절로서 가장 큰 의미를 지닌 절기는 추석이라 생각한다. 이로 인해 민족의 대이동을 연상케 하는 귀성행렬이 매년 이어지는 게 아니겠는가. 필자 또한 개인적으로 설날보다 추석에 더 많은 가족들이 모여 한 해 동안의 풍요와 보람을 나눈다.

많은 사람들이 추석이 되면 고향을 찾는다. 부모님과 조상의 묘를 방문해 보은의 은덕을 기리고 차례를 지낸다. 우리나라만 가지고 있는 아름답고 정겨운 미풍양속이다. 또한 온 가족들이 도란도란 모여 송편을 만들고 정성껏 준비한 음식도 함께 나눈다. 귀향길에 어머님이 싸주시고 손에 들려주는 마음의 정은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소중한 선물이다.

추석에는 가족들과의 만남과 차례만 있는 게 아니다. 추석에는 많은 지역별 축제가 열리고, 달 보고 소원 빌기 행사도 열고, 소싸움도 거북놀이도 한다. 조상들의 묘를 찾아 벌초도 하고, 성묘도 하며 효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갖기도 한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는 말이 있다. 이는 우리가 한가위를 얼마나 소중히 여겨 왔는지를 보여준다. 풍성하고 기쁜 한가위를 기다리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하지만 한가윗날의 풍습도 시대에 따라 변천하면서 점점 쇠퇴되는 거 같아 안타까운 심정이다. 또 그 명칭의 유래도 정설(定說)이 뚜렷하지 못해 가위, 한가윗날, 중추절, 추석 등으로 각기 다르게 부르는 형편이다.

한가윗날의 유래는 삼국사기 기록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8월 보름, 옛 신라국의 육촌(六村)의 부녀자들이 두 패로 나눠 두레 길쌈의 실적을 견주는 날이 오늘날 추석의 모태가 됐다고 전한다. 신라 유리왕 때부터 이 행사를 가위 또는 가배일(嘉俳日)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주로 여인들이 길쌈 짜기 겨루기를 해 진편에서 음식을 장만하고 모두가 즐겁게 여흥을 즐겼던 놀이 문화의 날이였다. 그래서 옛 부터 이 날을 가위 또는 가우(嘉優)로서 부른 것은 순수한 우리의 말 어원이 아닌가 싶다. 한편 삼국지의 한전 기록에서도 추석은 풍요로운 추수에 대한 감사를 조상들에게 고하는 날이라고 기록 돼 있다.

무엇보다 태음력 문화권인 한국, 중국, 일본에서는 8월의 보름날, 달을 보며 소원을 비는 풍습을 갖고 있다. 시집가는 처녀와 여염집 부녀자들은 추석 달과 둥근 만월을 보고 임신을 기원했다. 더불어 다산과 풍년을 염원했다. 달을 보며 소원을 비는 풍습 때문에 옛 부터 여인이 씨앗을 뿌려야만 풍년을 이룬다는 믿음도 생겨난 듯하다.

고려시대에는 한가윗날 밤에 임금님이 중신들을 모두 거느린 채 ‘중광전’에서 완월완상(玩月玩賞)으로 달구경을 했다. 조선왕조 때도 ‘장락원’에서 완월기풍(玩月氣風)의 의례를 베풀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 민족은 예나 지금이나 달을 보고 소원을 빌며 풍류의 멋을 즐기고 있는 미풍양속을 간직하고 있다. 영남지방에서는 한가윗날 송편을 ‘달떡’이라 해 가풍이 있는 집안에서는 둥근 송편을 지금도 만들어 제를 올리고 있다.

올해 한가위는 더욱 특별하다. 2달 넘게 계속 쏟아졌던 비로 인해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가 있었고, 농작물의 피해가 심해 채소와 과일들도 귀하다. 그래서 올해 맞는 한가위는 가족들뿐만 아니라 어려운 이웃들을 둘러보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어떤 형태로든 명절을 쓸쓸하게 보내는 홀몸어르신들과 나눔의 인정을 함께 나누는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 더불어 나누는 기쁨을 누릴 때 진정한 한가위의 풍요로움과 즐거움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올 한가위는 모두의 마음이 밝아지고 나눔의 온정이 넘쳐나길 기대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