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성기] 400만원 준다고 전사자 유족 상처 낫겠나
[확성기] 400만원 준다고 전사자 유족 상처 낫겠나
  • 관리자
  • 승인 2011.10.21 15:39
  • 호수 29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6·25참전 국군의 사망보상금을 1인당 400만원 정도로 올린다고 한다. 또 직계 존·비속이 아닌 형제나 자매도 보상금을 받게 된다고 한다. 국가권익위 결정으로 여론의 호된 비판을 받은 ‘5천원 유족보상금’을 바로잡는다며 내놓은 방안들이다.

400만원이란 금액은 수 십 년 전 폐기된 군인사망보상금 규정의 ‘5만환’을 금값 인상률과 법정이자를 고려해 환산한 것이라고 한다.
액수만 보면 보상금이 800배가 됐다. 하지만 국군 전사자 ‘예우’는 고사하고 ‘현실화’란 평가도 받기 어려울 것 같다.

국가를 위해 목숨 바친 고귀한 희생을 돈으로 다 보상할 수는 없다. 더욱이 정부의 이번 대책에서는 고심의 흔적도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

‘한강의 기적’을 이뤄낸 60년의 간극이 단순한 돈의 가치 계산으로 메워질지도 의문이다. 더 큰 문제는 제자리를 맴돌고 있는 듯한 정부의 인식이다. 전사자 예우에 대한 기본적 생각이 바뀌지 않는 한 ‘5천원 보상금’의 상처는 언제라도 다시 도질 수 있다.

한 전사자 유족의 끈질긴 문제제기로 불거진 ‘5천원 보상금’ 문제는 정말 입에 담기도 부끄러울 만큼 참담한 일이다.

주무 관청인 국가보훈처의 무책임한 ‘복지부동’ 행태는 눈과 귀를 의심할 정도다. 6·25전쟁 첫해인 1950년 11월 육군 일병으로 전사한 김모(당시 18세)씨의 유해가 국립묘지에 안장돼 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여동생이 보훈처에 유족보상금을 청구한 것은 2008년 12월이었다.

하지만 보훈처는 ‘전사 후 5년 이내’로 정해진 청구시한을 넘겼다는 이유로 지급을 거부했다고 한다. 보훈처는 법원 판결로 ‘청구시한’이란 방패를 잃게 된 이후에도 정신을 차리지 못했다. 1974년 폐지된 옛 군인사망보상금 규정의 보상액 ‘5만환’에다 1962년 화폐개혁 당시 교환비율(구권 10환=신권 1원)을 그대로 적용해 ‘5천원’이라는 기상천외한 수치를 뽑아낸 것이다.

일본 정부가 2009년 근로정신대 어르신들에게 후생연금 탈퇴수당조로 1인당 99엔(당시 환율 1300원)을 지급키로 해 우리 국민의 공분을 산 적이 있다.

그 때 일본 정부는 ‘당시 화폐가치로 지급한다’는 파렴치한 계산법을 근거로 내세웠다. 6·25전쟁에서 사망한 국군 유족에게 보상금이라며 고작 1인당 5000원을 내민 보훈처의 처사는 일본보다 더 염치없는 망동에 가깝다.

이제라도 보훈처와 유관 기관인 국방부의 수장들이 전사자 유족과 국민 앞에 무릎 꿇고 공식 사과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책임질 사람이 있으면 응당히 책임도 져야 할 것이다. 국민 가슴 속에 분노를 그대로 두고는 어떤 처방도 뾰족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