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기획, 인생 100세 시대 도래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창간기획, 인생 100세 시대 도래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 장한형 편집국장
  • 승인 2013.01.04 17:02
  • 호수 3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빈(最頻)사망연령 90세 육박, 10~20년 뒤 100세 시대 진입
국민의식·생활양식 변화, 사회제도·정치경제적 대응 서둘러야

 ‘인생 100세 시대’가 꿈이 아닌 현실로 다가왔다. 삶의 질이 향상되고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평균수명도 늘어났기 때문이다. 1970~80년대 ‘인생 70세 시대’에 이어 1990~2000년대 ‘80세 시대’를 넘어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인생 100세 시대’로 재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세계적 추세에 발맞춰 2011년 3월부터 100세 시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과 전략, 대응책을 강구하기 위해 기획재정부를 비롯한 범정부적 차원의 특별팀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0년 80.8세인 평균기대여명은 2030년 84.3세, 2050년 87.4세로 증가할 전망이다. 그러나 태어난 시점을 기준으로 몇 세까지 생존할 것인가 예측하는 기대여명이 아니라,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는 연령인 최빈사망연령은 ‘100세 시대’가 눈앞에 바짝 다가왔음을 현실적으로 입증한다.

통계청 사망통계의 최빈사망연령은 1994년 평균 71세를 시작으로 매년 1세씩 증가해 2008년에는 85세까지 증가했다. 이 같은 추세가 지속된다면 최소한 8년 뒤인 2020년에는 우리나라 국민의 최빈사망연령이 90대를 넘어선다는 전망이 가능하다. 전문가들은 남녀간 차이를 고려한다고 해도 2030년쯤엔 최빈사망연령이 완전히 90대로 진입, 100세인도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인생 100세 시대’가 현실로 성큼 다가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를 마주하는 국민들의 인식은 아직도 ‘인생 80세 시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전국 16개 시·도에 거주하는 30~6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인생 100세 시대에 대한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3.3%가 오래 사는 현상을 ‘축복이 아니다’라고 생각했다. 반면 축복이라는 응답은 28.7%에 그쳤고, 28.0%는 ‘그저 그렇다’고 답했다.

오래 사는 것을 축복으로 생각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38.3%가 ‘노년기가 너무 길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빈곤·질병·소외·고독감 등의 노인문제’(30.6%), ‘자식에게 부담이 될 것 같아서’(24.1%) 등이 뒤를 이었다.

보건사회연구원 관계자는 “국민이 희망하는 수명은 70대와 80대 연령층에 집중돼 ‘인생 80세 시대’의 인식에 머무르는 반면, 희망수명을 90세 이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16%에 불과해 대다수의 국민이 100세 시대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인생 100세 시대에 대한 국민의식을 전환시켜 체감도를 높이고 정책수용성을 높여야 할 것”이라며 “사회전반의 시스템 변화를 위한 다각적인 정책 연구가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인생 100세 시대’ 실현은 단순히 수명연장으로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삶을 살아가는 생애주기가 길어진 만큼 생활양식의 변화부터 각종 사회제도 변화, 그리고 인생 100세 시대에 맞는 정치경제적 시스템 구축 등 심층적이면서 체계적인 준비와 대응이 선행돼야 한다.

숭실대 허준수 교수(사회복지학부)는 “인생 100세 시대에는 노년기가 노화에 따른 단순한 시간 연장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어르신들을 포함해 모든 국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장수가 우리사회의 재앙이 아닌 축복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선제적 대응을 주문했다.

허 교수는 “어르신들의 경우 본인 스스로 수동적인 부양의 대상자로 인식하고 복지대상자로 남기보다 풍부한 경험, 지혜 및 직업 능력을 최대한 발휘해 퇴직 전 경제활동 탓에 참여하지 못했던 자원봉사활동이나 사회참여 등 주체적인 활동으로 성공적 노화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기업의 경우 어르신들을 단지 사회공헌의 대상자로 여기지 말고 소외되고 허약한 어르신들에게 기업특성을 살려 노인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을 확충해야 한다”며 “퇴직예정 근로자들을 위한 퇴직준비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장기적 차원에서 고령근로자에 대한 차별을 개선해 고령자 친화기업으로 거듭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정부는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건강한 노인과 만성질환의 요보호 노인 중심의 서비스를 균형 있게 실시하고, 모든 노인이 차별받지 않는 복지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경제적, 의료적, 심리적 및 사회적 영역에서 혁신적인 노인복지정책과 제도 개선을 이뤄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한형 기자 janga@100ssd.co.k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