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이어 에콰도르서 강진 피해… 심상치 않은 ‘불의 고리’
일본 이어 에콰도르서 강진 피해… 심상치 않은 ‘불의 고리’
  • 배지영 기자
  • 승인 2016.04.22 13:57
  • 호수 5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구마모토현에서 지난 4월 14일과 16일 각각 규모 6.5, 7.3의 강진이 발생했다. 16일 새벽 발생한 지진은 경남과 부산 등에도 진동이 전해져 주민들의 신고가 이어지기도 했다. 같은 날 일본과 수천㎞ 떨어진 남미 에콰도르에서도 규모 7.8의 강진이 발생했으며, 20일 오전에는 필리핀 산타마리아 동북쪽 지점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해 지구촌을 지진 공포로 몰아넣고 있다.
특히 ‘불의 고리’에 위치한 국가들의 불안감이 커져 가고 있다. 환태평양 지진대를 일컫는 불의 고리는 세계 지진의 90%, 규모 7.0 이상 대형지진의 80%가 발생하는 화약고다. 서쪽의 일본·대만·동남아, 북쪽의 러시아 캄차카반도와 미국 알래스카, 남북 아메리카의 서부지역 등이 고리모양을 형성하고 있어 ‘불의 고리’라 불린다. 지난 2011년 발생된 일본 후쿠시마 동일본 대지진과 2010년 칠레 대지진 등이 바로 이 ‘불의 고리’에서 일어났다.
일본 구마모토현은 14일 규모 6.5의 1차 지진에 이어 16일 규모 7.3의 2차 지진이 덮쳤다. 21일 현재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는 59명이며, 지진 발생 이후 피난생활 중 건강이 악화돼 목숨을 잃은 사람도 11명이나 된다. 구마모토현은 현재까지 620여 차례의 여진이 계속돼 현지 주민들을 불안과 공포에 떨게 하고 있다.
구마모토현에 2차 지진이 일어난 지 31시간 후에는 일본에서 1만5000㎞나 떨어진 태평양 반대편 남미 에콰도르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16일 저녁 에콰도르 수도 키토에서 170㎞ 떨어진 태평양 해상에서 규모 7.3의 강진이 발생한 것이다. 현재까지 에콰도르에서 사망자는 533명, 실종자 1700명, 부상자도 4000여명에 이른다. 실종자 가운데 상당수는 아직도 무너진 건물 잔해 등에 깔려 있고 부상자 중 중상자도 적지 않아 사망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또한 18일에는 멕시코 남부 산안드레촐라 포포카테페틀 화산이 분화해 인근주민 2000여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으며, 필리핀은 20일 발생한 규모 5.0의 지진에 앞서 지난 14일에도 규모 5.9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렇듯 올해 불의 고리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아판의 가장자리 쪽으로 비교적 판의 내부에 있어 지진 안전지대로 구분돼 왔지만, 이달 들어 남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 바누아투에서 규모 6.0 이상의 지진이 네 차례나 발생했고, 지난달에는 러시아 동부 캄차카반도와 알류샨열도에서 규모 6.0 이상의 지진이 연달아 발생하고 있어 불의 고리를 따라 초대형 지진이 발생할 경우 한반도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지진 대비에 철저하다는 일본도 이 정도니 만약 한국에서 같은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면 그 피해가 어느 정도일지는 상상조차 하기 힘들다. 전문가들은 수년 전부터 한반도가 지진 안전 지대가 아니라고 지적해왔다.
실제로 한반도에서는 1980년대 연 15.7회, 1990년대 연 25.5회, 2000년대 연 43.6회, 2010년대(2010 ~2014년) 연 58.4회 등 지진 발생이 꾸준히 늘고 있다. 규모 5.0 이상 지진도 6년에 한번 꼴로 일어난다. 올해도 이미 17건이 감지됐다고 한다.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의 공공시설물의 내진 설계율은 42.4%에 불과하다. 송유관은 한 곳도 내진 보강이 되지 않았으며 놀이공원 시설물 또한 내진 설계율이 13.9%에 그치고 있다. 6층 이상 민간건축물은 1988년부터 내진설계를 의무화했지만 그 이전 건축물은 지진 대비가 사실상 없는 거나 마찬가지다. 2층 이하 소규모 건축물은 지금도 내진설계가 필요 없다.
이제 ‘지진 재앙’을 다른 나라의 일로만 치부해선 안 된다. 이제라도 최악의 상황을 상정해 지진 대비책의 실효성을 더 높여야 한다. 지역별 지질 조사와 재해 위험도 측정 등을 서두르는 일도 그 중에 하나다. 더불어 지진 대처 일상 요령을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
국민안전처 중심의 통합 지휘체계, 장비와 물자의 동원체계 등도 상시 재점검하고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지진 대비 훈련의 정례화도 검토해야 한다. 지진 재앙은 대비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닥치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