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기준금리 0.25%p 인상… 한‧미 간 금리 역전 현상 선제적 대응 필요
미 기준금리 0.25%p 인상… 한‧미 간 금리 역전 현상 선제적 대응 필요
  • 배지영 기자
  • 승인 2017.06.16 11:01
  • 호수 57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 연방기금금리(기준금리)가 3개월 만에 다시 0.25%p 인상됐다. 미국이 제로금리 시대를 마감하고 2015년 12월과 2016년 12월, 2017년 3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한 이후 4번째 인상이다.
미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의 통화정책결정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지난 6월 14일(현지시간) 마감한 이틀간의 정례회의에서 현재 0.75∼1.00%인 기준금리를 1.00∼1.25%로 올렸다.
이날 기준금리 인상은 미국의 지난달 실업률이 16년 만에 최저치인 4.3%로 떨어지는 등 경제성장을 반영한 조치로 풀이된다. 물가는 4월 핵심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가 전년 대비 1.5% 상승해 연준 목표치에 미달했지만 완전고용과 경제 성장에 따른 물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1.25%p)는 같아지게 됐다.
연준은 올해 한차례의 추가적인 금리인상 전망도 제시했다. 연준 위원들의 기준금리 전망을 담은 점도표는 올해 1차례, 내년 3차례의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 3월에 제시한 금리인상 전망 경로를 유지한 것이다. 시장의 예상대로 올 하반기에 한 차례 더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미국의 기준금리는 우리나라보다 더 높아지게 되는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연준은 올해부터 4조5000억원에 달하는 보유자산을 축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만기 도래 증권에 대한 재투자 규모를 줄임으로써 보유자산 규모를 점차적으로 축소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연준이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채권 등 보유자산을 매각하게 되면 미국의 국책금리가 상승하면서 국내 통화가치가 하락되고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기금리는 더 빨리 상승될 수 있다.
연준은 성명을 통해 “인플레이션이 단기적으로 목표인 2% 아래를 유지하겠지만 중기적으로도 위원회의 2% 목표 수준에서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상됨에 따라 우리 경제도 적지 않은 충격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같아지면서 투자자금의 이탈 가능성이 제기되는데다 국내 실질금리도 올라갈 것으로 보여 가계의 부채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부채 부담이 커지면 최근 미약하나마 회복 조짐을 보이던 국내 소비심리를 다시 위축시킬 수 있고, 이렇게 되면 경기회복에도 찬물을 끼얹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금융투자업계 전문가들의 시장에 대한 평가는 다소 우호적이다. 금리 인상 이후에도 시장은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어서다. 한국 증시의 기대 수익률이 높아 금리 역전에 따른 자금 이탈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핵심이다. 실제로 최근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도 글로벌 투자자금은 국내 증시와 채권시장에 꾸준히 유입되고 있는 상태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5일 “연준의 금리 인상과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발언은 대체로 시장의 예상에 부합했다. 어제 국제금융시장에서도 큰 변동이 없었다”면서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금리역전 현상이 일어난 이후부터다. 연준의 예고대로 오는 9월 혹은 12월에 한 차례 미 금리가 인상되고 한국이 동결을 지속한다면 금리 역전은 피할 수 없다. 일각에선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신흥국의 경우 통화가치 하락과 증시 투자 자금 유출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많다고 지적한다. 급격한 자본유출 가능성이 적어도 외화 유동성 측면에서 충분히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그렇다고 한은이 이른 시일 내 금리 인상을 단행하기엔 걱정되는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자칫 잘못했다간 모처럼 만에 살아난 경기의 불씨를 꺼뜨릴 수도 있다. 이에 가장 중요한 건 선제적 리스크 관리다. 씀씀이 계획을 치밀하게 짜야 하며 재정‧통화‧금융 당국 간의 유연한 정책 조합이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