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연구·개발에 1조원 투입”
“치매 연구·개발에 1조원 투입”
  • 조종도 기자
  • 승인 2018.02.09 10:40
  • 호수 6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이틀간 공청회 열어 ‘치매연구개발사업 기획안’ 발표

2019년부터 10년간… 치료제·예방기술 등 개발

치매 발병 나이 5년 이상 늦추는 것이 목표

[백세시대=조종도기자]

정부가 오는 2019년부터 2028년까지 10년간 총 1조1000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해 치매 예방과 원인 규명, 치료기술의 개발에 나선다. 

국내 치매환자 수는 2017년 70만명에서 2050년 303만명으로 4.3배 규모로 증가하고, 이에 따른 치매관리비용도 2015년 약 13조원에서 2050년 약 106조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복지부는 추산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2월 5일(대전)과 6일(서울) 이틀에 걸쳐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치매연구개발사업 기획안’을 발표했다.

양성일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공청회 축사를 통해 “정부는 치매 극복을 위해 R&D(연구·개발)를 체계적으로 재정비하고 전략적인 지원을 통해 치매 환자와 가족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며 “치매 연구에 친화적인 기반도 구축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번 공청회는 지난해 9월 발표한 치매국가책임제를 과학기술적으로 뒷받침하고, 연구개발을 통해서 치매 극복의 가시적인 성과와 근본적인 치매 해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지난해 6월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국민들은 모든 질환 가운데 치매를 가장 의료비 부담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환자·가족의 고통 측면에서도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질병으로 꼽은 바 있다.

◇10년 후 치매발병 나이 5년 늦춰

정부의 치매연구개발사업은 환자 증가세를 둔화시켜 관리비용을 줄이고 나아가 국민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마련됐다. 원천기술 개발부터 시작해 임상연구, 실용화까지 이어지는 R&D 투자다.

발표된 기획안에 따르면, 연구개발사업을 시작하고 10년 후에는 치매 발병 나이를 최소 5년 늦추고 환자 증가속도를 절반으로 둔화시킨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번 발병하면 완치가 안돼 계속 앓아야 하는 치매의 특성을 볼 때 발병 나이를 늦추는 것만으로 사회경제적 부담을 크게 덜어낼 수 있다.

김기웅 국가치매연구개발위원회 분과위원장은 “치매 관련 국제기구는 국가치매관리비용(한국 13조원)의 1% 정도를 연구개발에 투자하도록 권고하고 있다”면서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연 1300억원 정도를 투입해야 하나 실제로는 3분의 1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말했다. 아직 치매신약개발 성공률은 0.5%로 제약산업 평균 성공률 4.1%에도 크게 밑돈다.

◇10년간 총 1조1054억원 투입

정부는 치매 연구개발을 5개 과제 등에 2019년부터 2028년까지 10년간 총 1조1054억원을 투입한다. 

치매 원인을 규명하고 예방관리 기술을 개발하는데 2091억원, 영상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등 혁신형 진단에 2109억원, 신약 개발 등 맞춤형 치료에 2123억원, 체감형 돌봄에 1931억원을 배정할 예정이다. 치매 인프라 구축에도 2000억을 지원하고 운영관리비로 800억원이 쓰인다. 총 투자비 가운데 12%는 민간 기업에서 부담하는 것으로 돼 있다.

맞춤형 치매치료제 개발에는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된다. 근원적 치매 신약 개발뿐 아니라 비약물 치료기술 개발 등이 포함된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치료제는 증상 완화 또는 악화를 늦추는 것만 가능하고 근본적인 치료는 불가능하다. 신약 개발을 위해 치료제 후보물질이 조기에 임상시험에 진입하게 하는 등 장벽을 허물 예정이다.

체감형 돌봄은 치매 환자가 스스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보호자의 신체적, 정신적 부담을 경감시켜 주는 것을 말한다.

이틀에 걸친 공청회에서는 전문가들과 국민들의 의견이 다양하게 제시됐다. 

김상은 분당서울대병원 핵의학과 교수는 “정부 사업기획안을 보니 5개 과제에 각각 2000억원씩 공평하게 나눈 것 같다”며 “앞으로 잘하는 분야에 더 투입하고 못하는 분야에 줄이는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 전문가는 “우리나라가 다른 국가에 비해 ICT(정보통신기술)나 빅데이터 등에 앞서 있기 때문에 이런 분야를 치매 돌봄과 예방 분야에 활용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운동이 치매에 효과가 있다는 임상연구 결과가 있는 만큼 예방·돌봄 대책에 운동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구강보건과 치매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제안도 나왔다.

정부는 공청회에서 제기된 의견을 반영해 사업기획안을 보완하여 4월께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조종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