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영화 ‘시인 할매’, ‘칠곡 가시나들’ 잇따라 개봉
다큐영화 ‘시인 할매’, ‘칠곡 가시나들’ 잇따라 개봉
  • 배성호 기자
  • 승인 2019.02.01 11:48
  • 호수 6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글배워 시 쓰는 할머니들 그린 두 편의 영화 ‘감동’

[백세시대=배성호기자]

문해교육을 마치고 시를 쓰게 된 70~80대 여성 어르신들의 이야기를 다른 다큐 두편이 나란히 개봉해 잔잔한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사진은 2월 27일 개봉 예정인 ‘칠곡가시나들’ 한 장면.
문해교육을 마치고 시를 쓰게 된 70~80대 여성 어르신들의 이야기를 다른 다큐 두편이 나란히 개봉해 잔잔한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사진은 2월 27일 개봉 예정인 ‘칠곡가시나들’ 한 장면.

시인 할매    시집 낸 곡성의 일곱 할머니들 사연과 시 영상에 띄워 ‘뭉클’

칠곡 가시나들    칠곡한글학교 다니는 여성 어르신들 사연 유쾌하게 다뤄

“사박사박/ 장독에도/ 지붕에도/ 대나무에도/ 걸어가는 내 머리 위도/ 잘 살았다/ 잘 견뎠다/ 사박사박”

어느 겨울 함박눈이 소복소복 내리는 날 한 여성 어르신이 집 앞 마당을 쓸고 있다. 빗자루가 말을 듣지 않아, 눈이 잘 쓸리지 않아 잠시 투덜거리긴 하지만 비질을 멈추지는 않는다. 마치 ‘잘 살고 잘 견뎌온’ 자신의 삶을 축약한 시처럼 윤금순 어르신은 눈을 쓸어나갔다. 2월 5일 개봉한 영화 ‘시인 할매’는 시종일관 이런 풍경이 나온다. 단순하고 반복적이지만 상영 내내 코끝을 시리게 한다. 

노인이 돼서야 겨우 한글을 배워 시를 쓰게 된 할머니들의 굴곡진 사연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두 편이 잇달아 개봉한다. 화제의 작품은 ‘시인 할매’와 2월 25일 개봉하는 ‘칠곡가시나들’이다. 

두 작품은 공통점이 많다. 전남 곡성과 경북 칠곡이라는 지역만 다를 뿐 평생을 농촌에서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는 점, 시를 쓴 주축 멤버가 각각 7명이라는 점, 몇 권의 공동 시집을 발간했다는 점, 시를 쓰면서 인생의 전환점을 맞았다는 점 등이 같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다르다. 한 마을에 살았더라도 14명의 여성 어르신들은 제각각 다른 삶을 살아왔다.

먼저 김막동·김점순·박점례·안기임·윤금순·양양금·최영자 어르신으로 구성된 ‘시인 할매’는 2016년부터 3년간 할머니들의 삶을 들여다본 과정을 담고 있다. 곡성의 아름다운 사계절 변화와 함께 할머니들의 삶과 그들이 쓴 시를 오버랩 시켜 잔잔한 감동을 선사한다. 

마을에서 작은도서관을 운영하는 김선자 씨의 제안으로 한글을 배우고 시를 쓰게 된 그들은 2016년 ‘시집살이 詩집살이’를 발간한다. 맞춤법도 제각각이고 글자도 삐뚤삐뚤하지만 할머니들의 인생을 함축해 담아 큰 박수를 받았다. 

영화는 시집을 낸 이후 할머니들의 삶을 쫓는다. 70~80대 고령의 나이지만 여전히 농사를 짓는 그들은 그림동화 책을 내기 위해 틈틈이 김선자 씨의 작은도서관에 찾아가 그림을 그리고 시를 쓴다. 농사를 지을 때는 능숙하고 억척스럽지만 시를 쓰기 위해 펜을 들었을 때는 천생 소녀로 돌아간다. 

하지만 저마다 사연은 달랐다. 큰 아들을 먼저 묻고 연이어 남편을 보낸 아픔을 가진 윤금순 어르신, 허리가 완전히 굽어 펴기도 힘든 상태지만 좀더 살고 싶다고 말하는 안기임 어르신, 가난한 형편 때문에 얼굴 한 번 안 보고 결혼해 백년해로 중인 김점순 어르신 등의 사연은 때로는 눈물을 때로는 웃음을 자아냈다. 

칠곡군 한글학교의 7인방을 다룬 ‘칠곡가시나들’은 보다 유쾌하게 곽두조·김두선·박금분·박월선·강금연·이원순·안윤선 어르신의 삶에 접근한다. 

어르신들은 대부분 1930년대에 태어났다. 곡성 어르신들과 마찬가지로 그 당시에 여성들에게 공부는 사치였다. 짧게나마 학교에 다닌 이들도 있지만, 일제강점기라 한글을 배우지는 못했다. 소녀티를 벗을 무렵 서둘러 시집을 가야 했고 전쟁통에 자식을 낳았다. 농사짓고 소 키우고 장사를 하며 식구들을 먹여 살렸다. 그렇게 글에 눈뜨지 못한 채 평생을 보낸 그들은 3년 전부터 한글을 배우기 시작했다.

영화 속에서 그들은 난생 처음 시험을 치르고 커닝에 농땡이도 피워가며 ‘가갸거겨’ 한글을 익혀간다. 까막눈에서 벗어나니 어느새 온 세상이 놀거리, 볼거리로 가득하다고 즐거워한다. 학교에서 숙제를 내줬지만 나물 캐느라 숙제는 하지 않고 걱정만 하는 모습, 시장에 떼로 몰려다니며 간판 글씨 읽는 모습 등은 훈훈하게 다가온다.

두 작품에 나오는 여성 어르신들은 모두 뒤늦은 배움이지만 의외로 담담하다. ‘이제까지 못 배워 한스럽다’기보다는 ‘이제라도 배우니 얼마나 좋으냐’고 말한다. 한글을 몰라서 자식을 속상하게 했던 경험을 시로 쓸 만큼 되레 미안해하기도 했다. 두 편의 작품을 들여다보면 미안함과 고마움이 동시에 든다.

현재 우리나라는 여권신장의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지만 그 어디에도 70~80대 할머니들의 이야기는 없다. 현재 살아 있는 한국인들 중에서 가장 부당하고 불합리한 처우를 받은 여성들의 99%는 이들이다. 단지 여자라는 이유로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배우기 쉬운 언어인 한글조차 익히지 못했으니 말이다.

‘칠곡가시나들’에서 강금연 어르신은 우체국에 가서 아들에게 편지를 부치겠다는 꿈을 이뤘다. 홀가분한 표정으로 털어놓은 강 어르신의 본심은 젊은 세대가 두고두고 되새길 만하다. 

“우체국 한 번도 안 가봤어예. 부끄럽기도 하고, 쓰지도 못하는디 뭐할라카는고 할까봐.”

배성호 기자 bsh@100ssd.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