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소방청 “심폐소생술 시행하면 생존율 최대 3.3배 높아져”
질병관리본부·소방청 “심폐소생술 시행하면 생존율 최대 3.3배 높아져”
  • 조종도 기자
  • 승인 2019.11.29 15:12
  • 호수 69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급성심장정지 원인은 질병이 74% 차지

심정지 환자 생존율, 8.6%로 많이 향상

갑자기 심장 기능이 멈추거나 심각하게 저하돼 쓰러진 사람에게 심폐소생술을 하면 생존율을 최대 3.3배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2006 ~2018년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월 26일 밝혔다.

조사 결과를 보면 환자를 목격한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는 2008년 1.9%에서 2017년 21%, 2018년 23.5%로 증가했다.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생존율이 1.9~3.3배, 뇌 기능 회복률은 2.8~6.2배 높게 나타났다.

또 급성심장정지로 병원에 이송되는 환자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지난해 119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3만539명으로 10년 전인 2008년 2만1905건보다 39.4% 증가했다.

남성이 전체 환자의 64%로 여성보다 많았다. 연령은 70세 이상 고령층이 51.4%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60대 16.5%, 50대 14.7%, 40대 8.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70세 이상 어르신의 발생률은 2008년 40.4%에서 2013년 47.5%, 2017년 50.2%, 2018년 51.4%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급성심장정지 원인은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질병으로 인한 발생이 75.1%를 차지했고, 그 밖에 운수사고, 추락 등으로 인한 발생이 24.2%를 차지했다.

발생 장소는 가정이 45.3%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도로·고속도로 7.7%, 요양기관 7.6%, 구급차 안 6.1% 순이었다. 발생 당시 일상생활을 하던 경우가 31.1%에 달했고, 치료 중 8.2%, 근무 중 5.4%, 여가활동 중 2% 등으로 집계됐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지난해 생존율은 8.6%, 뇌 기능 회복률은 5.1%로 10년 전보다 각각 3.4배, 6.4배 증가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과 정문호 소방청장은 “심폐소생술 실시 여부는 환자의 생존율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환자를 발견했을 때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고,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교육과 홍보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