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바이오사이언스, 방사능 유출 없는 ‘국내 1호 X선 혈액조사기’공급
JW바이오사이언스, 방사능 유출 없는 ‘국내 1호 X선 혈액조사기’공급
  • 윤성재 기자
  • 승인 2020.02.10 1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남세브란스병원에 ‘상그레이’설치, ‘수혈 관련 이식편대숙주병’ 예방
JW바이오사이언스는 강남세브란스병원에 X-Ray 방식 혈액방사선조사기 1호기 ‘상그레이’를 공급했다.(사진=JW바이오사이언스)
JW바이오사이언스는 강남세브란스병원에 X-Ray 방식 혈액방사선조사기 1호기 ‘상그레이’를 공급했다.(사진=JW바이오사이언스)

[백세경제=윤성재 기자] 방사능 유출 위험이 없는 신개념 혈액방사선조사기가 국내 대형병원에 최초로 설치됐다. 

현재 국내 대형병원 중 혈액방사선조사기를 보유한 곳은 50여개 기관에 이르지만, X-Ray 방식의 혈액방사선조사기가 국내에 설치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운영 중인 모든 혈액방사선조사기는 방사능 물질인 ‘세슘137’을 활용한 감마선 방식이다. ‘상그레이(SANGRAY)’는 국내 최초 X-Ray 방식의 혈액방사선조사기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다. 

JW홀딩스의 손자회사인 JW바이오사이언스는 강남세브란스병원에 X-Ray 방식 혈액방사선조사기 1호기 ‘상그레이’를 공급했다고 10일 밝혔다. 

‘상그레이’는 수혈용 혈액백에 X선을 조사(빛을 쬠)시켜 수혈 후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인 ‘수혈 관련 이식편대숙주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기기다. 

‘수혈 관련 이식편대숙주병’은 수혈된 림프구가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정상 조직을 공격하는 질환으로 치사율이 매우 높다. 이 질환은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수혈 이전 혈액백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 림프구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예방해야 한다.

특히 이 제품은 방사능 위험물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재해에 의한 방사능 물질 유출위험이 없고, 방사능 폐기물 처리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시 감마선을 방출하는 기존 제품과 달리 작동 시에만 고전압을 통해 X선을 유도시키는 방식으로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그레이’는 정확한 조사량 관리가 가능한 최신 특허기술도 적용했다. 자체 내장된 선량계가 가장 낮게 조사된 선량을 측정해 전체 조사량을 적정 수준으로 조절해 주는 것이 특징이다. 또 조사 결과를 라벨 프린터로 혈액백에 즉시 기록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다.

JW바이오사이언스는 모회사인 JW메디칼이 30년 이상 관리해 온 X-Ray 장비 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규 거래처를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JW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프랑스, 노르웨이, 일본 등 해외 의료선진국에서도 방사능 유출 위험이 없는 X-Ray 방식으로의 교체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 감마선 방식 제품들이 노후화돼 안전과 더불어 조사의 정확성에 대한 우려가 있는 만큼 상그레이의 경쟁력을 부각할 수 있는 마케팅 활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2016년 대한수혈학회지에 실린 ‘국내 의료기관의 방사선조사 혈액제제와 혈액방사선조사기에 대한 현황’ 논문에 따르면, 국내에서 혈액방사선조사기를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의료기관은 총 48개 기관으로, 모두 감마선 방식의 혈액방사선조사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87.5%에 해당하는 42개 기관이 제조된 지 10년이 넘은 노후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북미와 유럽 주요국의 경우 감마선 방식의 혈액방사선조사기에 대한 각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특히 일본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세슘-137 반입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으며, 혈액방사선조사기의 80% 이상을 X-Ray 방식으로 전환했다.

앞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바른미래당 간사 최도자 의원은 지난 2018 국정감사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에 등록된 혈액방사선조사기는 모두 감마선식 제품이라고 밝히며 방사능 물질 유출에 대한 위험성을 제기한 바 있다. 

최 의원은 이에 대한 유출과 피폭에 대한 위험성이 언제나 문제로 지적돼 왔다며, 실제로 1985년 브라질 고이아니아에서는 방사선 치료 장비 내부의 세슘이 유출되어 249명이 오염진단을 받고 111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최 의원은 외국의 경우 세슘 위험성으로 인해 감마선식 대신 X-ray를 사용하는 혈액방사선조사기로 교체 중으로 우리나라도 안전한 X-ray식 혈액방사선 조사기로 교체해야 하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