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3시간 안전교육?’…포스코 ‘죽음의 작업장’ 오명 여전, 안전장치도 '허술'
‘1년 3시간 안전교육?’…포스코 ‘죽음의 작업장’ 오명 여전, 안전장치도 '허술'
  • 최주연 기자
  • 승인 2020.07.15 15: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3일 광양제철소서 50대 설비점검 직원 쓰러진 채 발견…경찰 조사 중
‘조심스러운’ 포스코 “고인 안전장치 장착 여부도 밝힐 수 없다”

[백세경제=최주연 기자] 포스코 작업장 내에서 또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사망자는 오전 설비 점검 도중 추락한 것으로 추정되며 경찰은 구체적인 사망 경위에 대해 조사 중이다. 포스코는 “섣불리 원인 추정을 할 수 없다”면서 어떤 입장 표명도 꺼리고 있다. 업무 중 사고인지 단순 실족사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포스코의 스마트워치와 안전교육 등 안전대책 실효성도 도마에 올랐다. 실제 작업자 및 관리자의 안전교육은 1년에 3시간이 고작이었다. 

지난 13일 오전 8시 40분쯤 포스코 광양제철소 내 제3코크스공장 코크스 5호기 아래에서 50대 노동자 A씨가 피를 흘리며 쓰러진 채 발견됐다.사진은 포스코 광양제철소 전경.(사진=연합뉴스)
지난 13일 오전 8시 40분쯤 포스코 광양제철소 내 제3코크스공장 코크스 5호기 아래에서 50대 노동자 A씨가 피를 흘리며 쓰러진 채 발견됐다. 사진은 포스코 광양제철소 전경.(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비례)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3일 오전 8시 40분쯤 포스코 광양제철소 내 제3코크스공장 코크스 5호기 아래에서 50대 노동자 A씨가 피를 흘리며 쓰러진 채 발견됐다. 광양제철소 소속 정규직이었던 A씨는 현장서 심폐소생 뒤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결국 오전 9시 32분쯤 사망했다.

고용부는 A씨가 설비 점검 중 추락사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고용부는 사고 현장을 비롯해 부분작업중지 명령을 내렸고,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다. 경찰은 사고 경위에 대해 조사 중이다.

이와 관련해 포스코 측은 “입장을 밝힐 수 없다”면서 사고원인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15일 포스코 관계자는 [백세시대]와의 인터뷰에서 “경찰 조사 중인 사안으로 입장을 밝힐 수 없다”면서 “(사망자가) 당시 업무를 봤던 건지, 실족한 건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섣불리 원인을 추정해 밝힐 수 없다”고 일축했다. 사망자의 안전장치 장착 여부에 대해서도 즉답을 피했다.

고용부는 A씨가 설비 점검 중 추락사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고용부는 사고 현장을 비롯해 부분작업중지 명령을 내렸고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다. (사진=이수진 의원실)
고용부는 A씨가 설비 점검 중 추락사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고용부는 사고 현장을 비롯해 부분작업중지 명령을 내렸고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다. (사진=이수진 의원실)

포스코 안전대책, 빛 좋은 개살구?…실효성 있나

포스코는 작업자의 지속적인 사망 사고와 부상으로 2018년부터 ‘with 포스코’를 표방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안전경영 의지를 확고히 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2018년 10월 5일 안전다짐대회를 개최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거듭 강조했다.

포스코는 지난 8일 ‘스마트워치’를 도입해 현장 근무자의 신체 이상을 감지, 즉각적으로 신호를 보내 구조 골든타임을 확보했다고 홍보했다. 하지만 현장 근무자 1200여 명에게 스마트워치를 배포했다는 소식 5일 만에 사망사고가 일어났다. 이번에 사망한 A씨는 해당 기기를 착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본지]가 입수한 포스코 안전교육 실적자료에 따르면, 2019년 한 해 동안 작업자와 관리자 포함 총 4만1772명이 13만7404시간 안전교육을 받았고 이는 1인당 3시간꼴이다.(자료=포스코)
[본지]가 입수한 포스코 안전교육 실적자료에 따르면, 2019년 한 해 동안 작업자와 관리자 포함 총 4만1772명이 13만7404시간 안전교육을 받았고 이는 1인당 3시간꼴이다.(자료=포스코)

포스코의 작업자에 대한 안전교육 실시도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 안전교육 실적자료에 따르면, 2019년 한 해 동안 작업자와 관리자 포함 총 4만1772명이 13만7404시간 안전교육을 받았다. 이는 1인당 3시간꼴이다. 전문가들은 인원과 시간이 중복된다고 치더라도 위험한 작업환경이 많은 포스코에서 충분하다고 볼 수 없는 교육시간이라고 말한다. 게다가 실제 작업 현장에 투입되는 협력사 교육의 경우 한 해 1인당 2.65시간 안전교육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포스코 관계자는 “안전문화체험관에서 주요 안전사고에 대한 체험교육 실시, 온라인 강의 수강을 필수로 하고 있고, 공장별 안전 전담조직도 운영 중”이라면서 “직책보임자(관리자)에 한해서는 ‘안전행동관찰’ 교육을 2019년 한 해 동안 총 48차수에 걸쳐 1일 전일제로 실시했다”고 강조했다.

안전행동관찰 교육이란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과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상해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긍정적인 대화와 상호 간 신뢰 구축으로 작업자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활동을 말한다.

매년 사망‧상해 사고 빈번, 안전불감증 논란 

최정우 포스코 회장(사진)은 2018년 10월 5일 안전다짐대회를 개최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거듭 강조했다. 그러나 거듭된 사고 발생으로 인해 진정성이 의심되면서 힘을 잃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최정우 포스코 회장(사진)은 2018년 10월 5일 안전다짐대회를 개최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거듭 강조했다. 그러나 거듭된 사고 발생으로 인해 진정성이 의심되면서 최 회장의 리더십마저 흔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포스코 사업장에서는 지난해에도 이번 사망사고와 같은 사고들이 빈번했다. 지난해 2월 포항제철소 신항만 2부두에서 현장 직원이 크레인에 끼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고 같은 해 6월 광양제철소에서 수소가스가 폭발해 하청직원 1명이 숨지고 직원 1명이 중상을 입었다. 7월 1일 광양제철소에는 정전사고로 고로가 중단됐고 5일 후인 6일 포항제철소에서 설비제어시스템 이상이 발생했다. 이어 11일 포항제철소에서 몸에 화상을 입고 팔뼈가 부러진 직원이 사망한 채 발견됐다. 같은해 15일과 17일에는 협력업체 직원이 추락사했다. 12월 24일에는 광양제철소에서 폭발사고가 일어나 직원 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에 대해 업계는 원가 절감으로 인한 인건비 절감에 따른 연이은 사고라고 분석하고 있다. 현장 작업자의 안전대책과 대형설비에 대한 유지보수를 철저히 해야 할 때라는 것이다.

한편, 포스코가 공시한 지난해 3분기 보고서에는 2019년 6월 광양제철소 사고로 부과된 과태료 납부 사실이 누락돼 안전사고에 대한 인지가 허술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 또 2018년 기준 안전예산 증액 관련 의결이 한 차례도 없어 안전 경영 의지가 허울뿐인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의 “안전은 그 어떠한 것과도 바꿀 수 없는 최고의 가치”, “모든 임직원들이 조금 불편하더라도 사전에 대비하고 산업 전 생태계가 안전할 수 있도록 다 같이 지혜를 모아야 한다”는 발언에 진정성이 의심되면서 그의 리더십에도 힘을 잃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