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세시대 / 뉴스브리핑] 물가, 3년 8개월만에 최대 상승… 서민의 삶 팍팍해지지 않게 적극 대처를
[백세시대 / 뉴스브리핑] 물가, 3년 8개월만에 최대 상승… 서민의 삶 팍팍해지지 않게 적극 대처를
  • 배지영 기자
  • 승인 2021.05.07 14:00
  • 호수 76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년 8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하면서 서민들의 경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코로나19로 가뜩이나 팍팍한 가계 살림에 장바구니 물가까지 치솟으면서 ‘먹고 사는’ 기본적인 생활마저 힘겨워지는 모습이다.

통계청이 5월 4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전년보다 2.3% 올랐다. 2017년 8월(2.5%)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8년 11월(2.0%) 이후 최근까지 줄곧 0∼1%대를 오갔다. 지난해 5월에는 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0.3%)를 나타내기도 했다. 이후 올해 2월(1.1%), 3월(1.5%), 지난달(2.3%)까지 상승 폭이 점점 커졌다. 

특히 체감지표인 생활물가지수는 2.8%로 상승 폭이 더 컸다. 저소득층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는 농·축·수산물 등 장바구니 물가가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대파 가격은 전년보다 270% 급등하며 가격 상승세가 지속됐다. 저녁 식탁의 단골 메뉴인 계란(36.9%), 국산 쇠고기(10.6%), 돼지고기(10.9%), 두부(6.1%) 등 물가도 올랐다. 주요 식재료인 오이(23.9%), 양파(17.5%), 마늘(52.9%), 쌀(13.2%) 가격마저 상승하면서 서민들의 밥상을 위협하고 있다실제 소매가격도 치솟은 물가를 실감케 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가격정보 사이트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대파 1㎏ 소매가격은 평균 5357원으로 나타났다.

일주일 전인 지난달 27일(6155원), 한 달 전(6362원)보다는 가격이 내려갔지만 1년 전(2219원)과 비교하면 141.4%나 오른 수치이며, 평년(2466원)보다도 두 배 넘게 상승한 가격이다.

지난달 물가상승률이 높았던 건 기저효과가 작용한 측면이 있다. 비교 대상인 지난해 4월엔 코로나19 충격이 본격화되면서 물가상승률이 0.1%에 그쳤기 때문이다. 

국제유가가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탄 원인도 있다. 지난해 4월 배럴(158.9ℓ)당 20달러에 턱걸이했던 두바이유는 현재 60달러대를 형성 중이다. 또한 지난해 수해와 겨울 한파, 조류 인플루엔자(AI) 등으로 주요 농축산물 가격이 13.1%나 상승하는 등 강세가 지속된 것도 영향을 끼쳤다.

정부는 이번 물가상승이 지난해 코로나19로 물가 수준이 이례적으로 낮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로 보고, 하반기엔 안정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우려는 지울 수 없다. 지난해부터 시중에 많이 풀린 돈이 물가상승을 압박하고 있어서다.

정부의 재정 지출과 신용팽창으로 유동성이 풍부한 데다 ‘보상소비’가 유행할 정도로 억눌렸던 소비지출이 꿈틀거리고 있다.

물가상승은 소비자의 주머니를 가볍게 만든다. 하지만 그보다 걱정되는 건 금리상승을 촉발시킨다는 점이다. 물가상승률이 목표치를 넘어가면 중앙은행은 금리 인상을 고려해야만 한다. 

물론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 인상을 최대한 자제할 것이다. 하지만 시장 실세금리까지 통제할 수는 없다. 미국을 중심으로 장기물 국채금리는 벌써 몇 달 전부터 대세 상승 추세다. 인위적으로 금리를 막는 데는 한계가 있다.

가계부채가 많은 한국 경제에 금리가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 금리가 1% 오르면 가계대출 이자가 12조원 가까이 늘어난다. 자영업자도 5조원 이상을 이자로 더 내야 한다. 이처럼 개인과 영세기업엔 치명적이다. 저금리 상황에서 ‘영끌’, ‘빚투’에 나선 사람들에겐 충격이 더 크다. 금리상승은 자산가격 하락과 맞물리기 때문이다. 

코로나 사태로 가뜩이나 위축된 서민 살림은 물가상승만으로도 직격탄을 맞았다. 파, 계란, 고기 등 밥상 물가는 물론이고 기름 값과 수도요금까지 급등했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까지 오르면 서민들은 생계의 위기에 몰릴 수 있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물가 흐름을 면밀히 파악하고 농축수산물 가격 안정 등 물가 관리 대책을 세워야 한다. 경기 회복의 기미가 좀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인플레이션까지 덮친다면 서민 가계가 가장 먼저 어려움에 빠지고 타격도 클 수밖에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