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유행하는 전염성 질환… 성묘 등 야외활동 시 풀밭에 눕거나 맨살 노출 삼가야
가을철 유행하는 전염성 질환… 성묘 등 야외활동 시 풀밭에 눕거나 맨살 노출 삼가야
  • 배지영 기자
  • 승인 2021.09.17 14:36
  • 호수 78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풀밭에 서식하는 진드기가 옮기는 쯔쯔가무시병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경우, 잠복기를 거쳐 고열과 근육통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그림=게티이미지뱅크
풀밭에 서식하는 진드기가 옮기는 쯔쯔가무시병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경우, 잠복기를 거쳐 고열과 근육통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그림=게티이미지뱅크

풀숲 진드기·설치류 통해 ‘쯔쯔가무시병’ 등 감염 … 고열·근육통 나타나

진단 늦어지면 사망 위험… 야외활동 뒤엔 옷 세탁, 샤워로 청결 유지

[백세시대=배지영기자]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가을철에 조심해야 할 질환이 있다. 바로 쯔쯔가무시병, 유행성 출혈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렙토스피라증 등 가을철 감염병이다.

김시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매년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9~11월에는 진드기나 설치류 등을 통한 감염병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면서 “이 시기 야외에서 벌초나 등산, 작업을 할 때는 긴소매나 긴 바지, 작업화 등을 착용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이나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쯔쯔가무시병

키 작은 풀밭에 서식하는 털진드기에 기생하는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균’이 원인이다. 쯔쯔가무시병의 잠복기는 보통 1~3주다. 외부 활동 1~3주 후 갑자기 오한이나 40℃ 가까운 고열, 두통 등이 나타나고 기침, 구토, 근육통, 복통, 인후염이 동반되며 발진과 진드기에 물린 부위에 까만 괴사 딱지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진드기에 물린 줄도 모른 채 생활하다가 증상 발생 뒤 병원을 찾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항생제 치료에 잘 반응하고 대부분 2주 이내에 호전된다. 

하지만 진단이 지연되거나 일부의 경우 폐렴, 급성 신부전, 뇌수막염 등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사망률이 30~60%에 이른다는 보고가 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지난 2009년 중국에서 처음 발견된 신종감염병으로 SFTS 바이러스가 원인이다.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 일본에서만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아직까지 특별한 치료제나 예방백신은 없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무서운 병이다. 치사율이 10~30%로 높은 편이다.

SFTS는 참진드기의 일종인 작은소피참진드기가 매개체로 추정되는데, 제한적이지만 환자의 체액과 혈액에 노출되는 과정에서 2차 감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는 2013년 36명의 환자가 처음 보고된 이후 2016년 165명, 2019년 223명이 발생했다.

증상은 보통 4~15일의 잠복기를 거쳐 38~40℃에 이르는 고열, 혈소판 감소, 구토, 백혈구 감소 등이 동반된다. 중증의 경우 근육 떨림, 혼동, 혼수 등 신경계 증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건강한 사람은 가볍게 앓거나 자연 치유되는 경우도 많다.

김시현 교수는 “진드기 흡혈 시 무리하게 떼어내면 진드기의 일부가 피부에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며 “야외활동 후 발열 등 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행성 출혈열

신장의 염증과 급성 출혈을 유발해 ‘신증후군 출혈열’로 불리기도 한다. 원인은 한타바이러스다. 들쥐의 72~90%를 차지하는 등줄쥐 등 설치류의 타액, 소변, 분변 등이 건조되면서 호흡기를 통해 감염된다.

증상은 평균 2~3주의 잠복기를 거친 후 몸살이나 장염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일반적인 몸살이나 장염과 달리 피부 홍조, 점상 출혈, 결막 충혈 등의 증상을 보인다. 

윤지현 건국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감염되면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면서 복막 뒤 부종이 생겨 복통과 요통이 나타난다”면서 “폐포 내로 체액이 유출되면서 폐부종이 발생해, 심한 경우 호흡곤란이 일어난다”고 전했다.

시간이 지나면 발열기, 저혈압기, 핍뇨기(소변량 감소), 이뇨기(소변량 증가), 회복기 등 5단계의 임상 경과를 보이며,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치사율은 2~7%로 알려져 있다. 다행히 유행성 출혈열은 백신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다.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하면 95% 이상 항체가 생성된다.

◇렙토스피라증

가축이나 야생 동물, 쥐 등을 통해 전파된다.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강물, 지하수, 흙에 상처나 피부 점막이 접촉되면서 감염된다. 감염 동물의 소변이나 조직에 직접 접촉해 감염될 수도 있다. 주로 9~10월에 발생률이 높다.

잠복기는 7~12일로, 발열과 두통, 오한, 종아리와 허벅지 등의 심한 근육통, 충혈 등의 증상을 보인다. 피부 점막과 출혈, 간부전, 황달, 신부전, 심근염, 객혈 등의 호흡기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경증 환자는 2~3주가 지나면 거의 회복되지만, 5~10% 정도는 중증형태의 ‘웨일씨병’으로 진행하며 5~30%가 사망한다. 

◇풀숲 등 야외활동 삼가고 청결 유지

가을철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진드기나 들쥐 등이 있는 풀숲에서의 야외활동을 최소화해야 한다. 부득이하게 야외활동을 하게 된다면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야외 작업을 할 경우에는 일상복이 아닌 작업복을 구분해 입어야 한다. 

소매와 바지 끝은 단단히 여미고 토시와 장화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풀밭에 앉을 때에는 돗자리를 사용하고 사용한 돗자리는 씻어 햇볕에 말린다. 풀밭에 옷을 벗어놓거나 눕지 않도록 하고 용변을 보는 일도 삼가야 한다.

또한 야외활동 후에는 입었던 옷을 즉시 털고 반드시 세탁해야 한다. 집에 돌아온 후에는 바로 샤워나 목욕을 하고 머리카락이나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한다.

김시현 교수는 “풀밭이나 밭 등에서 야외활동 후 일정 기간 지난 뒤 갑작스러운 고열과 함께 구토, 설사, 복통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가을철 감염병에 노출됐을 가능성을 고려해 즉시 병원을 찾아 검사와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며 “특히 고령자나 만성질환자의 경우 감염 시 사망률이 높아지는 만큼 야외활동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배지영 기자 jybae@100ssd.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