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도인지장애 진단이 치매 치료의 시작”
“경도인지장애 진단이 치매 치료의 시작”
  • 배지영 기자
  • 승인 2022.09.26 09:15
  • 호수 8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치매학회 “현재 ‘경증질환’ 분류… 적극치료 받지 않는 원인”
대한치매학회는 9월 19일 코리아나호텔에서 ‘치매학회 설립 20주년 기념 간담회’를 열고 치매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발표와 함께 치매관리 정책을 제안했다. 사진은 양동원 치매학회 이사장(가운데)이 질의응답시간에 답변을 하고 있는 모습.
대한치매학회는 9월 19일 코리아나호텔에서 ‘치매학회 설립 20주년 기념 간담회’를 열고 치매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발표와 함께 치매관리 정책을 제안했다. 사진은 양동원 치매학회 이사장(가운데)이 질의응답시간에 답변을 하고 있는 모습.

“개발 중인 치료제, 초기 치매에 효과… 인식 개선 시급”

[백세시대=배지영기자]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늘고 있지만, 국민 10명 중 6명은 경도인지장애라는 용어조차 모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치매학회는 지난 9월 19일 코리아나호텔에서 ‘치매학회 설립 20주년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며 이같은 대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치매국가책임제 이후 필요한 치매관리 정책에 대해 제안하는 시간을 가졌다.

치매학회가 한국갤럽과 함께 만 18세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대국민 인식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경도인지장애라는 용어를 지금까지 들어본 적이 없다’는 응답이 58%에 달했다.

더불어 ‘경도인지장애가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인지 전혀 알지 못한다’는 응답자가 73%나 됐으며,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위해 검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응답은 12%에 그쳤다.

경도인지장애란 아직 치매라고 할 수 없지만 인지기능 검사에서 같은 나이, 같은 교육 수준, 같은 성별의 정상인보다 인지기능이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의 10~15%가 매년 치매로 진행되는 점을 고려하면 조기 발견과 치료가 매우 중요한 셈이다.

학회에 따르면, 국내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2021년 기준 254만명, 65세 이상 인구 중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는 67만명에 달한다.

양동원 대한치매학회 이사장(서울성모병원 신경과 교수)은 “우리나라는 급격한 고령화 추세 속에 65세 이상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가 10년 동안 3.2배로 급증했다”면서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여야만 적극적인 치매 예방 및 치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경도인지장애’ 진단의 중요성

학회가 경도인지장애 진단 및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유 중 하나는 현재 개발 중이고 임상 도입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치매 치료제들이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치료 가능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아두카누맙’이라는 치매 치료제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18년 만에 조건부 승인을 받은 바 있다. 기존 치매 치료제는 치매 증상의 진행 속도를 억제하는 방식에 불과했다면, 아두카누맙은 알츠하이머 치매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임재성 대한치매학회 홍보이사(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아두카누맙은 증상 개선제가 아닌 발병 기전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약”이라며 “아직 치료 효과성을 두고 많은 학계 논쟁이 있지만 치매 치료 시대의 새로운 서막이 열렸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고 전했다.

문제는 새로운 치매 치료제의 경우, 치매 진단 환자가 아닌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환자에게 투약해야 한다는 것이다. 치매가 이미 진행된 이후에는 별다른 효능을 보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서다.

임재성 이사는 “새로운 치매 치료제는 증상 완화가 아닌 병을 근본부터 치료하는 약으로, 주 치료대상을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경도인지장애’ 또는 ‘초기 치매’ 환자들로 제한하고 있다”면서 “따라서 전문적인 진료를 통해 향후 악화 가능성이 있는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경도인지장애’ 여부를 가려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치매 비용 감소 위해 정책 지원을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선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정책과 의료 인프라 준비는 물론 대중적 인식 역시 미비한 상태다. 경도인지장애가 하나의 연속적인 과정으로서 알츠하이머 치매로 악화할 수 있는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질병분류에선 ‘경증질환’으로 분류되고 있기 때문이다. 

경증질환으로 분류될 경우, 건강보험을 비롯한 의료 지원 규모가 적어지며, 환자의 본인부담금이 높아져 진료에 대한 부담감을 높일 뿐 아니라 질병 인식 측면에서 가볍게 다뤄질 개연성이 크다.

임 이사는 “경도인지장애는 경증질환이라는 오해 때문에 적절한 진단검사와 전문의료진에 의한 추적관찰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며 중증화 가능성을 염두에 둔 보다 과학적인 분류체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치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치매에 대한 사회적 비용과 부담을 줄이기 위해선 의료적 개입과 정책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를 위해서는 △치매예방 분야 지원 및 전문인력 양성 △민관 합동 치매 관리 체계 구축 △치매 고위험군 고령층 지원 확대 △치매 관련 산업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최호진 대한치매학회 정책이사(한양대 구리병원 신경과 교수)는 “그동안 치매를 관리하기 위한 기본적인 사회적 인프라는 갖추어졌지만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지원이 부족하고, 공공기관 위주의 지원으로 인해 늘어나는 치매 환자 관리 수요에 대한 대응에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며 “효율적 치매 관리를 위해서는 민간 영역의 참여 확대를 유도하고, 치매 전문가 육성을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더욱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지영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