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 취침 시간 외 침대에 눕지 않는 것도 도움
불면증, 취침 시간 외 침대에 눕지 않는 것도 도움
  • 배지영 기자
  • 승인 2023.03.13 15:21
  • 호수 86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깊은 잠을 오랫동안 자지 못하면 신체의 염증반응을 높여 암 발생위험을 증가시킨다. 사진은 불면증으로 밤을 지새우는 노인의 모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깊은 잠을 오랫동안 자지 못하면 신체의 염증반응을 높여 암 발생위험을 증가시킨다. 사진은 불면증으로 밤을 지새우는 노인의 모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불면증 계속되면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 높여… 우울증·불안장애 초래

수면무호흡증·코골이도 수면 방해… 복식호흡·요가 등 이완요법 효과

[백세시대=배지영 기자] 국내 인구 3명 중 1명은 일생에 한 번 정도 불면증을 겪는다고 한다. ‘숙면’은 건강한 삶을 위한 첫 단계인 만큼, 불면증으로 인한 수면 부족은 질병이 아니라고 쉽게 무시할 수 없는 문제다. 

이에 건강한 수면의 중요성부터 불면증 치료에 도움을 주는 생활습관까지 이유진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 도움말을 통해 알아본다.

◇숙면의 중요성

수면 부족은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적인 어려움과 밀접하다. 깊은 수면은 몸과 마음을 회복시키고 일과 중 쌓인 감정을 처리하는 기능이 있는데, 수면이 부족하면 우울증이 생길 수 있어서다.

실제로 불면증 환자의 절반 이상은 우울증·불안장애를 호소하고, 우울증 환자 3명 중 2명은 불면증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부족으로 우울해지는 경우가 더 많은 편이다.

수면 부족은 심혈관질환과도 관련이 있다. 수면 중에는 깨어 있을 때보다 혈압이 10% 정도 떨어지는데, 잠을 잘 자지 못하면 지속적으로 교감신경계가 항진돼 심혈관계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실제로 지난 2017년 서울대병원의 연구에 따르면, 심한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은 정상인 대비 17배 높았고, 불면증 환자는 8배 높았다.

수면 부족은 암 발생과도 연관된다. 이는 수면이 면역체계, 대사, 호르몬, 세포 기능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특히 깊은 잠을 오랫동안 자지 못하면 신체의 염증반응을 높여 암 발생위험을 증가시킨다.

◇수면 부족을 부르는 수면장애

대표적으로 만성 불면증이 있다. 불면증을 만성화시키는 나쁜 습관들이 있는데, 아침까지 안  자고 누워있거나, 낮에 잠을 자려 하거나, 침대에서 긴 시간을 보내는 것 등이다. 

특히 침대에서 깨어 있는 채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 ‘침대-수면’이 아니라 ‘침대-불면(각성)’으로 이어져 전문용어로 ‘조건화 상태’가 된다. 우리의 뇌는 이 상태를 학습하게 돼 막상 수면을 위해 침대에 누웠을 때 잠이 안 오는 현상을 경험할 수 있다.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등도 수면 부족의 원인이 되는 대표적인 수면장애다. 수면무호흡증이 있으면 코골이가 심해지고, 수면 중 호흡이 빈번하게 정지해 기상 후 두통이나 피로가 생긴다. 하지불안증후군이 있으면 다리 불편감을 참을 수 없어 자는 동안에도 다리를 떨거나 움직여 숙면을 방해하게 된다. 

◇수면제, 불면증에 도움이 될까?

불면증을 치료하기 위해선 수면습관의 개선, 인지행동치료, 약물치료 3가지가 모두 이뤄져야 한다. 열이 날 때 무조건 해열제만으로 해결하려 하면 안 되는 것처럼, 원인 분석이나 평가, 치료 없이 특정 약물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원인이나 의심이 되는 질환을 찾고 수면습관이 문제라면 습관을 교정하면서 수면제는 가급적 짧게, 필요한 기간, 최소 용량만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일부 수면제는 내성과 금단증상으로 인해 중독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흔히 사용되는 졸피뎀 계통의 수면제는 장기복용 시 ‘약을 복용하지 않으면 못 잘 것 같은 느낌’이 들면서 심리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지속 복용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모니터링이 수반돼야 한다.

수면제는 대표적으로 인지기능 저하의 부작용이 있다. 잠에서 깬 이후 자신이 했던 행동이나 대화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전향성 기억상실’이 대표적이다. 그러므로 이 같은 부작용에 주의하면서 복용해야 한다. 

특히 술과 수면제를 함께 복용하는 것은 이러한 인지장애의 위험을 높이고 수면무호흡증의 위험을 배로 증가시킬 수 있어 위험하다. 더불어 잠이 오지 않아 새벽녘에 수면제를 복용한 뒤, 인지기능이 완전히 돌아오기 전인 이른 아침부터 운전을 하는 것은 위험한 행동이므로 자제해야 한다.

◇불면증의 비약물적 치료

먼저 올바른 수면습관을 위해 ▲규칙적으로 아침 일찍 일어나기 ▲가급적 낮잠 자지 않기 ▲침상에 누워만 있는 시간 줄이기 ▲카페인, 술, 담배 등 수면에 영향을 주는 물질 사용 줄이기 ▲야간에 흥분하는 활동 하지 않기 ▲일광욕 하기 등을 잘 유지해야 한다. 

특히 일광욕을 통해 햇빛이 눈으로 들어와 뇌까지 전달되면 낮에 깨어 있고, 밤에 잠들도록 하는 일주기 리듬을 형성하는 데 아주 좋다.

인지행동치료기법도 있다. 그중 자극조절요법은 잠자리, 취침시간 등 수면을 조절하는 자극 조건과 수면의 관계를 조정하는 방법이다. ‘졸릴 때만 침실에 들어간다’, ‘침실에서는 일을 하지 않는다’ 등의 행동을 중재해 침대에서는 자는 시간만 보내고 각성하면 침대에서 나오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즉, 침대-수면의 조건화를 만드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누워있는 시간을 제한해 나가며 누워있는 시간과 자는 시간을 같게 만드는 ‘수면 제한법’, 복식호흡·요가·반신욕 등 신체와 정신을 이완시키는 ‘이완 요법’들도 인지행동치료에 해당한다. 

◇숙면을 위한 생활습관

잠이 들기 전에는 이완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완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방법은 없다. 이에 수면시간 전 명상, 복식호흡 등을 통해 교감신경 항진을 줄이고 부교감신경 항진을 높이면 수월하게 잠들 수 있다.

이유진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기상시간을 고정하는 것도 좋다. 수면의학의 관점에서는 아침에 일찍 일어나야 그날 밤 일찍 잘 수 있는 힘이 채워진다”면서 “약간 더 누워있고 싶은 느낌이 있을 때, 부족한 듯 잔 것 같을 때 침대에서 내려와 활동을 시작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강조했다.

배지영 기자 jybae@100ssd.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