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친화도시 “살던 곳서 계속 살게 해야”
고령친화도시 “살던 곳서 계속 살게 해야”
  • 장한형 기자
  • 승인 2010.06.11 14:07
  • 호수 2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사회 계속 거주’ 고령화 정책 새 패러다임 부각
노인만이 아닌 시민 모두 평생 살기 좋은 도시 필요
고령화에 대응, 고령친화적인 도시건설을 위해서는 시민들이 살던 곳에서 계속 머물며 독립적이면서 활동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의 김선자 연구위원은 최근 ‘서울의 고령친화도시 추진전략’ 연구보고서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김 연구위원은 “대부분의 시민은 노년기에 들어서도 오랫동안 살아왔던 거주지와 지역사회에서 계속 독립적이고 활동적으로 생활하기를 희망하고 있다”며 “그러나 인구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기 이전에 설계된 도시환경은 이러한 시민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데 적절하지 않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일반적으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신체적, 사회적인 취약성은 증가하지만 적절한 도움을 받으면서 익숙한 거주환경에서 삶의 계속성을 유지하는 것은,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비용 감소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최근 고령화 정책에서는 ‘지역사회 계속거주’가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고령친화적 지역사회 모델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고령친화적인 도시는 노인만을 위한 ‘노인친화적’ 도시가 아니라 시민 모두가 평생을 살아가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나이 들어가는 과정에서 변화하는 시민의 욕구와 선호에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2007년 4개의 고령친화 모델 지역이 선정됐으나 이 사업의 목적이 지역 활성화에 초점을 두고 있어 주민의 생활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다”며 “또 적절한 예산 지원이 따르지 않아 실제적인 추진도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역개발의 목표 선정, 실행과정, 평가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나 지침도 없고, 의료·복지·고용·교통 등 기본영역에 대한 논의도 기초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고령친화도시의 모델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받으며 적용을 확대하고 있는 국제보건기구(WHO)의 고령친화도시 모델과 미국의 평생지역사회 모델, 빌리지 모델, NORC 프로그램 모델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이들이 시사하는 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김 연구위원의 지적이다.

김 연구위원은 “시민 전체가 안심하고 평생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서울의 물리적, 사회적인 도시환경 재정비와 재설계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서울시의 전반적인 도시정책과 환경이 시민의 고령화에 대응하기에 얼마나 적합한지, 어느 정도 준비돼 있는지 종합적인 진단이 실시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밖에 “특히 노년기의 이동성과 접근성을 지원하는 교통계획과 공간계획의 재설계,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지원하는 다양한 유형의 주거대안을 개발하기 위한 전략 도출이 필요하다”며 “시민의 생활공간에서 활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행로, 공원, 산책로 등의 공간과 편의시설 확충, 노년기의 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사회참여프로그램이 확대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장한형 기자 janga@100ssd.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