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한‧중 정상회담 이어 열병식 참석… 대북 문제 공감대 공고해져
박 대통령, 한‧중 정상회담 이어 열병식 참석… 대북 문제 공감대 공고해져
  • 배지영 기자
  • 승인 2015.09.04 13:32
  • 호수 48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9월 2일 한·중 정상회담을 개최한 데 이어 다음날인 3일 박 대통령이 중국 열병식에 참석하면서 한‧중 관계가 더욱 공고히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중국은 열병식에서 사상 최대 규모의 군사 퍼레이드를 펼치며 항일전쟁 승리의 의미를 되새기는 동시에 첨단 무기를 통해 군사력을 과시했다. 또한 주요 2개국(G2)으로 올라선 중국의 ‘글로벌 파워’를 대내외에 천명했다.
이날 열병식에는 중국 시진핑 주석을 비롯해 박근혜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북한의 최룡해 노동당 비서 등 정상급 외빈 50여명과 각국 외교사절 등이 대거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에 이어 시 주석 오른쪽 두 번째 자리에 착석했다.
한 국가의 군사력 과시 행사에 한국 대통령이 최고 귀빈으로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달라진 한‧중 관계와 동북아 안보지형의 급변을 상징한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박 대통령의 방중을 하루 앞두고 열린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의 회담에서 박 대통령의 중국 전승 70주년 열병식 참석이 한반도 전체에 미치는 의미에 대해 설명을 들은 후 “충분히 이해한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회담 참석자는 전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이런 행보가 한‧미‧일 공조의 중요성을 훼손하는 게 아니란 점을 서방에 확신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한‧중 양국 정상은 2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정상회담을 통해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등의 내용을 포함한 10개 항의 회담 결과를 발표했다.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은 이날 예정된 시간을 14분 넘겨 34분간 정상회담을 진행했으며, 회담 종료 후 곧바로 1시간 정도 특별오찬을 함께하는 등 대략 1시간40분간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 양국 현안을 주제로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
이번 양국 정상회담은 한·중 관계가 동북아 정세의 핵심인 대북 문제에 대해 새로운 기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양 정상은 양국 간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한반도 정세 발전을 포함, 동북아 전반에 걸쳐 의사소통과 협의를 강화하자는 데 합의했다. 최근 북한의 도발로 한반도에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한 상황에서 남북 고위급 접촉과 합의를 극적으로 끌어내는 과정에 중국의 역할론이 갈수록 중요해질 것이란 점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협의 내용에는 추후 미사일이나 핵실험 등 북한의 추가도발에 대한 적극적 대응에 공감대가 형성돼있는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북한 문제에 있어서도 양국은 2008년 이후 중단된 6자 회담이 의미 있는 형태로 조속히 재개돼야 한다는 데 합의를 이끌어냈다. 이는 북핵 문제가 고도화되는 상황에서 미국이 북핵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고 북한 역시 6자 회담 재개에 대해 거부감을 드러내는 데 따른 것이다.
또한 8·25 남·북고위급 접촉 합의와 관련 “최근 한반도에서 조성됐던 긴장 상태가 남북 간 협의를 통해 완화된 것”이라고 평가하며, 앞으로 한·중이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한반도 정세 발전을 포함, 한반도 지역과 국제 문제에 대해 의사소통 및 협의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대북 문제를 넘어 한·중 관계가 앞으로 전반적인 동북아 외교안보 질서뿐만 아니라 경제협력 등 다방면에서 건설적 우호관계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것도 큰 수확으로 꼽힌다. 시 주석이 우리 정부의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에 대해 지지 입장을 거듭 밝히고,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중국의 일대일로(육상․해상 실크로드) 구상 사이에 상호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자고 강조했기 때문이다.
특히 이날 양 정상은 오는 10월 말이나 11월 초를 포함해 서로 편한 시기에 한국에서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동아시아 현안들을 논의하는 데 중요한 틀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가 중국과 일본 사이의 갈등을 중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외교 공간을 넓히는 의미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중 양국이 정상회담을 통해 한·중·일 정상회의 복원과 한·일 관계 정상화 가능성을 높이고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지만 미국과 일본의 우려를 완전히 씻어낼 수 있을 정도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균형외교’를 지속한다면 그런 우려도 충분히 씻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