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왕’을 꿈꾼 독일 제후가 수집한 보물들 ‘첫선’
‘태양왕’을 꿈꾼 독일 제후가 수집한 보물들 ‘첫선’
  • 배성호 기자
  • 승인 2017.10.13 13:55
  • 호수 59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왕이 사랑한 보물’ 전
▲ 일본 장식 자기세트

[백세시대]

폴란드 왕이 된 아우구스투스의 소장품… 당대최고 수준 보물 평가
49캐럿 다이아몬드로 만든 단추, 911개의 보석 박힌 검 등 놀라워

신성로마제국의 지배를 받던 작센의 선제후(황제 선거 자격을 가진 제후, 選帝侯)이자 후에 폴란드 왕위에 오른 ‘아우구스투스 2세’(1670~1733). 태양왕이라 불렸던 프랑스 루이 14세를 동경하며 절대 왕권을 꿈꿨던 그는 아름다운 것들을 소유함으로써 권위를 드러내려 했다. 웅장한 궁전을 짓고 독일 전역은 물론 유럽·아시아에서 수집한 보석·도자기·수공예품으로 그 안을 채웠다.

이런 그의 보물들이 한국 나들이에 나섰다. 오는 11월 26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왕이 사랑한 보물-독일 드레스덴박물관연합 명품전’에서는 그동안 한국에 거의 소개되지 않았던 18세기 독일 드레스덴 지역의 그린볼트·무기·도자기 박물관 등의 소장품 130점을 선보인다. 특히 이번 전시는 정밀함을 자랑하는 독일 기술력의 근원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이기도 하다.

▲ 종 모양 드레스를 입은 여인을 형상화한 술잔
▲ 911개의 다이아몬드가 박힌 의장용 검

 

아우구스투스 재임 당시 독일 지역은 신성로마제국의 지배하에 있었다. 아무리 힘이 있는 이라도 황제 아래의 제후로만 존재할 수 있었다. 1694년 형의 뒤를 이어 작센의 제후가 된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는 왕의 자리를 열망했다. 막대한 자금을 무기로 선출직이었던 인접 국가 폴란드의 왕위에 도전, 1697년 꿈을 이룬다. 하지만 프로테스탄트(개신교)였던 신성로마제국의 제후가 개종까지 하면서 가톨릭(구교) 국가인 폴란드의 왕이 된 데 대한 폴란드인들의 반발은 컸다. 아우구스투스는 비판을 누그러뜨리고 왕권을 강화할 방법을 고심했다.

전시의 1부 ‘강건왕 아우구스투스’는 그의 권력욕을 보여주는 유물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는 1706년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크게 패하고 폴란드 왕위까지 잃지만 3년 뒤인 1709년 설욕에 성공하고 왕위도 되찾는다.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이 폴란드 왕으로 복위한 것을 기념하는 연회에서 스스로 태양 가면을 만들어 착용했다.
옷감 전체에 황금 자수를 놓은 군복, 금와 은으로 장식한 칼도 마찬가지다. 군주의 위엄을 보여주기 위해 자신을 상징하는 모노그램(두 개 이상의 글자를 합쳐 하나로 도안한 글자) ‘AR(Augustus Rex)’을 옷과 소지품은 물론 궁전 곳곳에 새겨 넣었다.

아우구스투스는 제후가 되기 전부터 보석과 공예품을 사랑했다. 그는 자신의 보물들을 어떻게 사람들에게 가장 아름답게 보여줄 수 있을지 고민했다. 그 결과가 바로 2부의 주제인 ‘그린볼트’다.
드레스덴에 있는 그린볼트(Green Vault) 박물관은 그가 당대 최고의 예술품들을 모아 전시한 궁전의 서쪽 공간 ‘그린볼트’에 있던 유물들로 꾸며졌다. 그는 재질에 따라 상아·청동·은·도금은·금은보화·코너캐비닛·보석의 방의 7개 공간으로 나눠 장식한 후 이를 당시 일반인들에게 공개했다. 그린볼트가 ‘유럽 최초의 박물관’으로 불리는 이유다. 전시품 하나하나가 감탄이 터져나올 만큼 정교하고 아름답다. 이중 종 모양 드레스를 입은 여인이 바다방석고동으로 만든 항아리를 들고 있는 술잔이 특히 눈길을 끈다. 은에 도금을 해 만든 이 술잔은 왕실의 결혼식 술자리에서도 사용될 만큼 아름다움을 뽐낸다.

벽면이 거울로 꾸며진 ‘보석의 방’은 발걸음을 쉽게 떼기 힘든 공간이다. 49.84 캐럿짜리 다이아몬드 ‘작센 화이트(Saxon White)’로 만든 단추, 193개의 다이아몬드로 세공한 모자 장식의 화려함은 특히 여성 관객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왕이 행사에 사용했던 의장용 검의 손잡이엔 다이아몬드 911개가 붙어 있다.
이어지는 3부에서는 강건왕이 구상했던 ‘도자기 궁전’을 재현했다. 아우구스투스는 도자기 애호가이기도 했다. 아시아를 오가는 상인들에게 중국과 일본의 도자기를 사들여, 죽기 전까지 3만5000여점을 모았다. 도자기는 당시 유럽에서 ‘하얀 금’으로 불릴 만큼 귀하고 인기 있는 물건이었다. 하지만 제작 방법은 전해지지 않은 상태였다.

이에 아우구스투스는 아시아의 도자기를 수집, 감상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모방해 도자기를 직접 생산하려 했다. 1708년 연금술사 요한 프리드리히 뵈트거를 시켜 유럽 최초로 자기를 만드는 데 성공한다. 이후 드레스덴 근교 마이센(Meissen) 지역에 도자기 요(窯)를 세워 본격적인 생산에 착수했다. 도자기 제작은 작센에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안겨줬고, 마이센은 오늘날 독일을 대표하는 명품 도자기 브랜드로 성장했다.

전시장에는 그가 수집한 중국·일본의 도자기와 마이센에서 제조한 복제품이 나란히 놓여 있다. 어설프게 흉내 낸 듯한 자기에서 차츰 완성도를 높인 복제품이 등장하는 과정은 매우 흥미롭다. 이중 18세기 초 마이센에서 제작된 붉은 용 식기 세트는 일본 아리타 도자기를 모방한 것이었는데, 프랑스 상인 로돌프 르메르가 이를 일본산 진품으로 속여 프랑스에 팔아 큰 수익을 거뒀다. 이에 화가 난 아우구스투스는 1731년 르메르의 판매를 금지하고 당시 작센에 남아 있던 마이센 재고품을 모두 왕의 소장품으로 몰수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배성호 기자 bsh@100ssd.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