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돌 맞은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한 점 없었지만 50년만에 8000여점 보유
50돌 맞은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한 점 없었지만 50년만에 8000여점 보유
  • 배성호 기자
  • 승인 2019.10.25 15:08
  • 호수 69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69년 10월 20일 개관… 청계산 1만평 공간에 과천관 들어서며 성장
청주관까지 4개관 운영, 年 30여건 전시… 아시아 대표미술관 우뚝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백세시대=배성호기자]지난 1969년 10월 20일, 서울 경복궁 뒤뜰 옛 조선총독부 미술관자리에 ‘국립현대미술관’ 간판이 내걸린다. 하지만 ‘국립’이라는 이름과는 다르게 미술관의 모습은 초라했다. KBS 중앙방송국장을 지낸 김임용 초대관장을 비롯, 직원은 4명에 불과했고 소장품은 단 한 점도 없었다. 당시 한 언론에서도 “경복궁 미술관에 간판을 달아놓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혹평을 할 정도였다. 그로부터 반세기가 지난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의 위상은 완전히 달라졌다. 

변변한 작품 한 점 없던 미술관에서 국내를 넘어 아시아를 대표하는 미술관으로 성장한 국립현대미술관(이하 현대미술관)이 개관 50주년을 맞았다. 현대미술관은 과천·서울·덕수궁·청주 등 4개관에서 연간 30여건의 전시회를 선보이며 아시아에선 견줄 만한 미술관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무했던 소장품 역시 2019년 9월 현재 8417점에 이른다.

1969년 제18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를 첫 전시로 선보인 현대미술관은 이후 개점휴업 상태로 있다가 1972년 실질적인 개관전인 ‘한국근대미술 60년’ 전을 개최했다. 그리고 이듬해 덕수궁 석조전으로 이전하면서 비로소 미술관다운 모양새를 갖춰나간다. 

그러다 1986년 청계산 자락 1만평 대지에 과천관이 완공되면서 새 시대를 맞았다. 로비에 놓인 백남준의 초대형 미디어탑 ‘다다익선’으로 상징되는 과천관 탄생에는 1986년 아시안게임과 88올림픽을 맞아 외국에 내보일 번듯한 공간이 필요하다는 정치적 배경도 작용했다. 또 풍광 좋은 곳에 위치했지만 접근이 어려워 ‘소통하지 못하는 미술관’이란 지적을 받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천관 시대가 열리면서 현대미술관은 비약적인 발전을 하고, 그 중심에는 9대 관장(1981~1983)으로 재직하다 잠시 물러났다 재등판한 이경성 관장(11대, 1986~1992) 이 있다. 현대미술관 최초로 미술전문가 출신 관장이 된 이경성은 덕수궁 시절에는 없었던 학예연구사(박물관 및 미술관에서 소장품에 대한 관리, 전시기획, 학술연구 등의 업무를 수행) 제도를 도입했고 소장품 관리 제도를 만들었다. 탁월한 미술행정가였지만 미술비평가, 미술사가, 교육자 등 다양한 영역에서 한국 미술 발전의 밑거름이 됐다. 

현대미술관이 50주년 행사로 이경성 아카이브 전시를 기획한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다. 이경성 관장의 지휘 아래 소장품은 2000여점으로 불어났고, ‘이달의 작가전’, ‘청년작가전’ 같은 정례화한 전시도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이경성 관장이 미술관의 초석을 마련했다면 그 뒤를 이어 1992년 부임한 임영방 관장은 한국 미술이 세계로 뻗어나가는 전환점을 마련했다. 부임 첫해 휘트니비엔날레(미국 휘트니 미술관에서 2년마다 개최한 국제 미술 전시회) 첫 해외전시를 과천관에 유치하고, 1995년에는 ‘미술계의 올림픽’이라고도 불리는 베네치아비엔날레 한국관 건립을 주도하는 등 한국 미술과 세계 미술의 가교 역할을 했다.

1998년 12월 덕수궁 석조전 서쪽에 분관이 마련되면서 국립현대미술관은 2관 체제가 됐다. 과천관은 근·현대 미술을, 덕수궁관은 ‘오르세미술관 한국전’ 같은 국제적 성격의 전시나 근대미술을 주로 선보였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이후 1990년대 중반부터는 ‘동물원 옆 미술관’을 표방한 과천관 이외에 접근성 좋은 서울 도심 미술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문화예술계를 중심으로 제기됐다. 길고 긴 논의 과정을 거쳐 2013년 11월 서울 종로구 소격동 옛 기무사터에 서울관이 들어선다. 동시대 미술 흐름을 선보이는 서울관은 설립 5년째인 지난해 118만 명이 다녀간 서울 시내 대표 미술관으로 자리잡았다. 

지난해 12월에는 개방형 수장고 형태의 국립미술품수장보존센터인 청주관까지 문을 열면서 현대미술관은 4관을 보유한 아시아 최대 규모로 거듭났다.

다만 50년의 역사 동안 여러 차례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그중 소장품 진위 문제로 여러 차례 구설수에 오른 것은 옥에 티로 남아 있다. ‘미인도’ 사건이 대표적이다. ‘미인도’는 자신의 작품이 아니라고 주장한 천경자 화백 측과 수십 년간 공방을 계속하면서 현대미술관의 신뢰도에 큰 상처를 입혔다. 지난해에는 미술관이 15년간 소장한 이성자 ‘숨겨진 나무의 기억들’이 위작으로 드러나 미술계에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한편 현대미술관은 10월 17일부터 국립현대미술관 5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를 과천·서울·덕수궁관에서 동시에 열고 있다. 개관 50주년을 기념하고 한국미술 100년을 돌아보는 전시는 ‘광장’을 주제로 국내외 작가 320여명의 작품 570여점을 선보이는 초대형 규모로 관심을 모은다.

배성호 기자 bsh@100ssd.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