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노벨문학상 수상자 ‘루이즈 글릭’…인생의 고독, 고통 속에서 소생하려는 의지를 담다
2020 노벨문학상 수상자 ‘루이즈 글릭’…인생의 고독, 고통 속에서 소생하려는 의지를 담다
  • 배성호 기자
  • 승인 2020.10.23 14:31
  • 호수 7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벨문학상 수상자 미국 시인 루이즈 글릭.
노벨문학상 수상자 미국 시인 루이즈 글릭.

현 예일대 교수… 거식증으로 학업 중단했지만 시 쓰며 어려움 극복 

국내엔 시선집 통해 ‘눈풀꽃’ 등 일부만 소개… 쉬운 언어로 아픔 위로

[백세시대=배성호기자] “꾸밈없는 아름다움을 갖춘 확고한 시적 표현으로 개인의 존재를 보편적으로 나타냈다.”

스웨덴 한림원은 지난 10월 8일(현지시간)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미국 시인 루이즈 글릭(77)을 선정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현재 예일대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그는 1968년 시집 ‘맏이’로 문단에 등장해 미국 현대문학에서 가장 저명한 시인의 하나로 추앙받고 있다. 이번 수상을 통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던 국내에서도 그의 시집을 번역‧출간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면서 출판계의 블루칩으로 주목받고 있다. 

노벨문학상 제정 이래 여성으로서는 16번째 수상의 영예를 안은 글릭은 1943년 미국 뉴욕시에서 태어났다. 10대 시절 거식증을 심하게 앓아 정서적인 혼란으로 7년 동안 심리치료를 받으며 정상적인 학업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시에 대한 열정을 이어나가면서 시인으로 성장했다. 이 때문인지 삶의 고독과 고통 속에서도 소생하려는 생명의 의지를 표현하는 시가 많다. 

1985년 작품 ‘아킬레스의 승리(The Triumph of Achilles)’, 1990년 ‘아라라트(Ararat)’를 통해 미국은 물론 전 세계에서 명성을 얻기 시작한 글릭은 1992년 대표작 ‘야생 붓꽃’(The Wild Iris)으로 이듬해 퓰리처상과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상을 받았다. 이후 미국도서상, 미국비평가협회상, 불링겐상, 월러스 스티븐스상 등 미국의 주요 문학상을 석권했다. 

2020년 현재까지 12개의 시집과 에세이 등의 책을 펴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아직까지 번역된 시집이 단 한권도 없다. 그만큼 국내에서는 생소한 시인이다.

글릭의 시는 복잡하거나 난해하지 않다.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명료하고 단순한 언어로 삶과 세계의 깊은 진실을 전달하는 것이 그의 시의 가장 큰 특징이다. 자연을 면밀히 관찰하거나 자신의 아픈 경험을 반추하는 데에서 출발한 그의 시들은 자연이나 개인사라는 한정된 틀을 벗어나 보편적 울림으로 나아간다.

단기간에 그의 작품들이 번역돼 나오기 힘든 상황이지만 그나마 글릭의 시가 번역돼 실린 시선집은 3권 있다. 지난달 중순 나란히 출간된 ‘마음 챙김의 시’(수오서재)와 ‘내가 사랑한 시옷들’(포르체)과 2108년 출간된 ‘시로 납치하다’(더숲) 등이다.

류시화 시인이 엮은 시집 ‘마음챙김의 시’에는 대표작 ‘눈풀꽃’(Snowdrops)이 실려 있다. 이 작품에서 글릭은 고독, 상실, 트라우마, 고립, 죽음, 배신 등으로부터 받는 고통을 극복하고 삶을 복원하는 ‘치유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시에는 죽음을 상징하는 겨울이란 계절적 시어가 자연 세계로 등장한다. 시 안에서 화자는 땅에 묻히지만 그곳에서 인생의 죽음, 질병, 트라우마, 재난 같은 것들을 통과해 나올 수 있도록 돕는 긍정의 씨앗을 발견한다. 

특히 ‘다시 자신을 여는 법을 기억해 내면서’나 ‘좋아, 기쁨에 모험을 걸자’와 같이 일상 속에서 지친 우리 삶을 추스르게 하는 강력한 시구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시를 엮은 류시화 시인은 이 시를 “인생이라는 계절성 장애를 겪으며 잠시 어두운 시기를 지나는 사람들에게 읽어주고 싶은 시”라고 평가했다.

이처럼 삶을 찬미하고 시련에 맞선 투쟁을 고무하는 글릭의 시들은 코로나19로 지치고 낙담한 이들에게 깊은 위로와 용기를 준다. 물론 글릭의 다른 시들 가운데에는 어둡고 절망적인 상황을 표현한 작품도 적지 않아서, ‘무너진 세계의 시인’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 ‘시로 납치하다’에 실린 ‘애도’이다. ‘애도’에는 이인칭 화자가 등장하는데 이미 죽은 사람이다. 그의 장례식에 친구들이 모인다. 평소 의견이 맞지 않던 친구들이 고인이 된 당신의 사람됨과 “운 좋은 삶”에 대해서는 한결같은 칭송의 말로 하나가 된다. 눈물까지 흘려 가며 경쟁하듯 쏟아내는 덕담에 당신은 심지어 혐오와 공포를 느낄 지경이지만, “다행히 당신은 죽었다”. 이윽고 해가 기울고 모였던 사람들이 하나둘 빠져나가기 시작한다. 바로 그 순간, 죽은 자의 내면에서 놀라운 반전이 일어난다. 혐오와 공포를 유발했던 친구들이 “고통스러울 만큼 격렬한 질투”의 대상으로 바뀌는 것. 질투의 근거는 단 하나, 그들은 “지금 이 순간 살아 있는 것”이다. ‘운 좋은 삶’이란 이미 살아 버린 삶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영위되는 것이라는, 지극히 현세적인 인생관을 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것은 이러한 시 세계를 통해서 글릭은 어디까지나 삶과 투쟁의 편에 선다는 사실이다. 

문학동네와 은행나무 등은 그동안 한 권도 출간되지 않았던 글릭의 시집 출간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후보작은 글릭의 ‘성실하고 덕망있는 밤’(Faithful and Virtuous Night, 2014)과 한림원이 수작이라고 언급한 ‘아베르노’(Averno, 2006)다.

배성호 기자 bsh@100ssd.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