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세시대 / 뉴스브리핑] ‘수소경제로의 대전환’ 손잡은 대기업들 … 정부도 인프라 구축 등 지원을
[백세시대 / 뉴스브리핑] ‘수소경제로의 대전환’ 손잡은 대기업들 … 정부도 인프라 구축 등 지원을
  • 배지영 기자
  • 승인 2021.09.10 13:20
  • 호수 78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수소 산업을 주도해온 대기업들이 ‘수소경제’ 전환을 위해 똘똘 뭉쳤다. 탄소 중립이 기업의 생존을 좌우하는 이슈로 부각되면서 국내 기업들이 수소경제, 전기차 배터리 등 친환경 산업 생태계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것이다.

현대차그룹과 SK그룹, 롯데그룹, 포스코그룹, 한화그룹, GS그룹, 현대중공업그룹, 두산그룹, 효성그룹, 코오롱그룹 등 국내 대기업 10곳을 포함해 총 15개 회원사는 지난 8일 한국판 수소경제동맹인 ‘코리아 에이치투 비즈니스 서밋’(Korea H2 Business Summit)을 공식 출범시켰다.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수소경제 활성화와 탄소 중립 실현이란 목표를 위해 결속하기로 함에 따라 지지부진했던 국내 수소경제 전환과 국내 기업의 세계 시장 진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협의체 출범의 산파 역할을 한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은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수소 산업 생태계의 균형적인 발전이 늦었지만, 우리 기업들이 전 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만큼 못할 것도 없겠다는 자신감이 든다”면서 “기업·정책·금융 부분을 하나로 움직이는 역할을 해 수소 산업 생태계의 완결성과 경쟁력을 높이고 수소경제 발전에 이바지하는 리딩 플랫폼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현대차·SK·포스코·한화·효성 등 5개 그룹이 오는 2030년까지 수소 생산과 유통·저장, 활용 등 수소 경제 전 분야에 43조4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하기로 한 계획을 구체화하는 역할을 맡는다. 

또한 △회원사 간 수소 사업 협력 추진 △수소 관련 투자 촉진을 위한 글로벌 투자자 초청 인베스터 데이 개최 △해외 수소 기술 및 파트너 공동 발굴 △수소 관련 정책 제안 및 글로벌 수소 어젠다 주도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 세계 주요 국가들은 탄소 중립 달성, 미래 먹거리 발굴, 글로벌 수소 패권 확보를 위해 국가 수소 전략을 발표하고 있으며 기업들도 수소 분야 투자를 늘리고 있는 추세다. 유럽 중에서는 독일이 가장 적극적이다. 독일은 지난해 6월 국가 수소 전략을 발표해 오는 2030년까지 14테라와트시(TWh) 규모의 그린 수소 생산을 목표로 정하고 38개의 세부 이행계획을 세워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지난 2019년 1월에 ‘2040년까지 세계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마련했으나 수소 생산 여건이 불리하고 활용 분야가 한정돼 선진국에 비해 수소 산업 생태계의 균형적인 발전이 늦은 상태다.

수소는 지구상에 풍부하게 존재하며 고갈되지 않는 자원으로 알려져 있다. 

산소와 화학반응을 통해 열과 전기를 생산한 뒤 물을 부산물로 남기는 친환경 에너지로 환경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발전용·가정용 등 현대사회에서 에너지가 필요한 대부분의 분야에 전방위적으로 활용도가 높다는 점이 장점이다. 

아직 기술개발을 통해 생산비를 낮추고, 수소충전소를 비롯한 각종 인프라와 제도들을 구비해야 하는 등 많은 과제와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수소경제가 정착되면 수소가 지금까지 석유가 누렸던 중요성을 대체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점에서 협의체 출범은 그동안 정부가 주도하던 수소경제 논의를 민간 협의체가 뒷받침하며 구체적인 청사진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는 것에서 주목할 만하다. 특히 수소경제 실현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뿐만 아니라 신산업 및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기업들의 ‘수소 동맹’이 더 큰 동력을 얻기 위해선 수소 활용과 확산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정부도 수소경제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과제가 아직 많다. 수소발전소·수소충전소 등 수소 인프라 건설 계획이 주민 반대에 부딪혀 표류 중인 게 대표적인 예다. 이제는 경계를 허문 기업들의 협력에 정부가 답할 차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