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여는 고전의 향기 [160] 분노 조절 잘하기
마음을 여는 고전의 향기 [160] 분노 조절 잘하기
  • 허윤만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 승인 2021.11.12 13:26
  • 호수 794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노 조절 잘하기

일어나기는 쉽지만 제어하기는 어렵기로 분노만 한 게 없다.

易發難制(이발난제), 莫忿懥若(막분치약)

- 이현일(李玄逸, 1627~1704), 『갈암집(葛庵集)』권22 「징분잠(懲忿箴)」


추석 연휴의 어느 날, 학습지를 풀던 큰딸이 갑자기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연휴라서 엄마도 아빠도, 학습지 선생님도, 세상 모든 사람들이 다 쉬는 것 같은 그런 때에 왜 자기만 연휴 내내 이 학습지를 매일 꼬박꼬박 풀어야 하냐며…. 그러더니 결국에는 두 눈에서 닭똥 같은 눈물을 뚝뚝 떨구고 말았습니다. 분통 터뜨리는 거야 그러려니 하고 넘어갔는데 엉엉 우는 꼴까지는 두고 볼 수 없어, 이번엔 부녀지간의 싸움으로 번지고 말았습니다. 대한민국의 학습지 푸는 아이와 부모 간에 수없이 오갔던 그 말, “너 그러려면 학습지 끊어!”가 새삼스럽지 않게 또 터져 나왔고, 그렇게 옥신각신 오랜 설득 끝에 결국에는 국어 학습지를 네 장에서 두 장으로 줄이는 것으로 간신히 타협을 보게 되었습니다.(중략)

큰딸에게 왜 그렇게 하기 싫어하면서 학습지를 계속하냐고 물어보니, 같은 반 친구들보다 더 공부를 잘 하고 싶답니다.(중략)

이런 아이의 호승심(好勝心)은 이기지 못한 것에 대한 분노로 표현되고, 그 분노는 다음에는 꼭 이겨야겠다는 동기 부여의 장작을 타오르게 하곤 합니다. 인간의 여러 감정 중에서 썩 안 좋게 보이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분노이지만, 어느 정도 적당한 분노는 경쟁심을 고취하면서 나름 긍정적인 동기 부여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류 역사상 가장 공부를 잘 하신 분 중 하나인 공자님의 공부법에 보면 ‘발분망식(發憤忘食)’이란 말이 있습니다. 너무 공부에 몰두한 나머지 밥 먹는 것도 잊는다는 건데, 이 중에 ‘성낼 분(憤)’자가 쓰이는 게 제법 흥미롭습니다. 물론 여기서 ‘분’자는 ‘분발하다’는 뜻에 더 가깝긴 하지만, 이처럼 ‘분(憤)’자는 ‘분(奮)’자와 종종 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적당한 분노는 분발(奮發)이나 분기(奮起)로 이어지면서 때로는 큰일을 성사시키는 데 중요한 동인(動因)이 되곤 합니다. 어쩌면 나라가 어려울 때 분연히 의병(義兵)을 일으켰거나 독립운동에 매진했던 조상님들의 의기(義氣) 속에도, 옳지 못한 것에 대해 발발한 분노의 감정이 적지 않은 몫을 차지했을 겁니다. 하지만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 선생은 「징분잠(懲忿箴)」이란 글에서, 사람이 태어나면서 자연히 내려 받아 지닌 7가지 감정 중에서 가장 일어나기는 쉽지만 제어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분노’를 거론하며 이를 억누르는 것에 대한 중요함을 역설하고 있습니다.(중략)

공자님은 『논어(論語)』에서 이 분노 조절 장애의 특효약에 대해 제대로 처방하신 바 있습니다. 바로 ‘화가 나면 어려움을 생각하라[忿思難]’는 말입니다. (중략)

뜻하지 않게 분노 조절 장애에 휩싸여 머리가 뜨거워질 때면, 나중에 뒷수습할 어려움을 생각하며 차분히 머리를 식히는 비결을 항상 명심해야겠습니다.    

허윤만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윤진한 2021-11-13 04:50:01
공자님. 참고로 하면, 공자님 아버지 시호는 계성왕(啓聖王)이시고 공자님 어머니 시호는 계성왕 부인(啓聖王夫人)이십니다.
http://blog.daum.net/macmaca/3127

@한국 유교 최고 제사장은 고종황제 후손인 황사손(이 원)임. 불교 Monkey 일본 항복후, 현재는 5,000만 유교도의 여러 단체가 있는데 최고 교육기구는 성균관대이며,문중별 종친회가 있고, 성균관도 석전대제로 유교의 부분집합중 하나임.

@忿思難, 恕, 仁義禮智, 忠孝,법, 규칙등 적절히 조화하십시오.

윤진한 2021-11-13 04:47:07
.공자님과 맞지는 않습니다. 불교는 원래부터 창조신 브라만에 항거하여 부처가 새로 만든 후발신앙으로 브라만을 섬겨온 인도에서도 다시 배척받게 된 인도발 신앙입니다. 창조신보다 높다는 Chimpanzee류의 부처를 받드는 무신론적 Monkey철학임을 염두에 두고, 불교와 섞인 후대의 중국 도교도 그런 위험을 가지고 있는 철학임을 염두에 두고 철학.민속적으로만 접근해야 합니다.

동아시아 세계종교인 유교나, 서유럽의 세계종교인 가톨릭의 하느님은 인간을 창조하신 절대적 초월자이십니다.

@ 공자님의 시호. 하늘이 보내신 성자이신 성인 임금 공자님은 황제 칭호인 문선제(文宣帝).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圣文宣王)의 오랜 전통으로 호칭되어 오고 있습니다.聖人에 이르신 스승(至聖先師). 은나라 왕족의 후손이신 공자

윤진한 2021-11-13 04:46:29
세계사로 볼 때, 유교는 공자님도 제사하며, 한나라때 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성립된 세계종교입니다. 공자님께서는 이전부터 전해지던 신앙인 始原유교의 天(하늘,하느님)숭배, 여러 神明숭배를 계승하시면서, 인간이 행해야 할 禮와 道를 제자들과 제후들에게 가르치신 스승(先師,至聖先師)이시자, 성인임금(文宣帝,文宣王)으로 추증되신 성인이십니다. 그래서 유학은 聖學이라고도 합니다.

하느님의 종교인 수천년 동아시아 세계종교인 유교의 정체성을 확실히하고, 하느님과 별개의 철학인 도교,불교를 이해하는것도 어느정도 필요합니다.도교는 유교처럼 하느님이 인간을 창조(天生蒸民)하신 점에 주안을 두지 않고, 후대에 갈수록 불교의 보살같은 용어도 사용하여, 동아시아 세계종교로 수천년 이어진 유교의 하느님(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