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세시대 / 뉴스브리핑] 소비자물가 10년만에 4% 돌파… 새 정부, 물가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을
[백세시대 / 뉴스브리핑] 소비자물가 10년만에 4% 돌파… 새 정부, 물가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을
  • 배지영 기자
  • 승인 2022.04.11 10:28
  • 호수 8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세시대=배지영 기자]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약 10년 만에 4%대를 돌파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국제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한 여파가 본격적으로 실물경기에 반영되는 모습이다.

통계청이 지난 4월 5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4.1%를 기록했다. 물가가 4%대 상승률을 보인 것은 2011년 12월(4.2%) 이후 10년3개월 만이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월(0.9%)까지만 해도 0%대로 안정세를 유지했다. 그러나 2월에 1%대에 이어 4월 2%대, 10월 3%대로 진입했으며 지난달 다시 4%대로 높아졌다. 

물가상승의 주범은 석유류 등 공업제품과 외식 등 개인 서비스였다. 우크라이나 사태 영향으로 석유류는 31.2%나 올랐으며 가공식품을 아우른 공업제품은 6.9% 상승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지난해 말 배럴당 60달러대에 머물던 국제유가는 120달러에 육박하고 밀과 옥수수 등 주요 곡물가격은 40~50%나 올랐다. 니켈·리튬·구리·알루미늄 등 첨단산업의 필수 소재로 사용되는 주요 광물도 급등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들 자원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타격이 더 클 수밖에 없다.

서비스 물가는 3.1% 올랐는데, 특히 개인서비스 중 외식이 6.6% 급등했다. 이는 1998년 4월(7.0%)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3% 올랐다. 2011년 12월(3.6%) 이후 최대 폭이다.

문제는 물가를 더 끌어올릴 요인이 산적해 있다는 점이다. 전쟁은 언제 끝날지 모르고, 무너진 글로벌 공급망 복구 시점은 불투명하다. 미국이 전략비축유를 풀어 국제유가가 잠시 떨어졌지만 산유국의 증산이 없으면 다시 오를 수밖에 없다.

대선 뒤로 미뤄둔 전기, 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은 더 방치할 경우 한국전력 등이 적자가 심화될  상황이다. 노동계는 물가 급등을 이유로 내년도 최저임금을 8.5∼10% 올리자고 주장한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약속한 ‘50조원 추경’도 한꺼번에 시중에 풀릴 경우 물가를 불안하게 만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가상승은 수요가 살아나 경기가 회복되는 신호로 볼 수 있지만, 최근 오름세는 이와 다르다.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물가가 오르는 측면이 강하다. 실제로도 기업이 체감하는 경기는 나빠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3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보면 모든 산업의 업황실적 BSI가 3개월 연속 하락했다. 향후 경기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는 4월 전망 BSI도 역대 최저였다. 통계청의 산업활동 동향 또한 2개월 연속 산업생산이 감소세였다. 물가가 오르는데 성장은 둔화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는 것이다. 이에 최근 회복 기미를 보이는 고용마저 침체할 수 있다.

만에 하나 스태그플레이션이 현실화되면 경기 회복은 저해되고 민생은 파탄날 수 있다. 가계와 기업, 정부 부문에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부채도 최대 현안이다. 부채 규모도 문제지만 가파른 증가율이 더 큰 걱정으로 와닿는다. 

한은은 조만간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금리 인상은 물가 불안 심리를 잡는 효과는 있겠지만, 취약계층에는 치명적이다. 물가상승으로 가뜩이나 줄어든 소비여력이 금리 인상으로 더 쪼그라들기 때문이다.

높은 물가는 서민에게 가장 큰 피해를 입히므로 이들이 받을 충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문제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해 새 정부가 물가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대책을 좀 더 촘촘히 마련해줄 수 있도록 협조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