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세시대 / 뉴스브리핑] 일상 마비시킨 ‘카카오 먹통’ … 재발 방지와 함께 충분한 보상안 내놓아야
[백세시대 / 뉴스브리핑] 일상 마비시킨 ‘카카오 먹통’ … 재발 방지와 함께 충분한 보상안 내놓아야
  • 배지영 기자
  • 승인 2022.10.24 09:48
  • 호수 8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세시대=배지영 기자] 국민 메신저인 카카오톡을 포함한 카카오 서비스가 이틀에 걸쳐 18시간 넘게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카카오톡이 10시간 넘게 끊어진 건 출시 12년 만에 처음이다. 뒤늦게 복구된 메일 서비스는 85시간 먹통이 됐다. 

이번 사태는 지난 10월 15일 오후 3시 30분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위치한 SK C&C 지하 3층 전기실에서 발생한 화재가 도화선이 됐다. 이 과정에서 ‘서버’ 작동에 필요한 전원 공급이 끊겨 카카오의 서비스가 갑자기 멈췄다. 

이에 따라 시민 대다수는 큰 혼란과 함께 연결이 끊기는 고통을 겪어야 했다. 카톡을 보내도 연락이 안 되고 택시 호출이 되지 않았다. 카톡으로 송금하거나 만기가 돌아온 결제도 불가능했다. 각종 경제 및 이동 서비스에 불편과 피해를 겪은 것이다. 만약 휴일이 아닌, 평일에 벌어졌으면 피해 정도는 훨씬 더 심각했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번 사고가 ‘예정된 재앙’이라는 점이다. 카카오가 안정적인 서비스를 지속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시설(인프라)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다는 건 기가 막히는 일이다. 

사고가 났을 때 다른 곳의 서버를 이용할 수 있는 이원화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은 IT(정보기술) 기업의 기본 중의 기본을 저버린 일이다. 여러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동시에 분산하는 이중화 작업이 제대로 돼 있으면 화재나 지진, 테러 등으로 인해 한곳에서 작동을 멈춰도 곧바로 다른 센터에서 실시간 백업 시스템이 작동돼 서비스를 즉각 재개할 수 있다.

카카오 측은 “국내 여러 데이터센터에 분할 백업하고 있으며, 이원화 시스템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으나, 이번 사태에선 작동하지 않았다.

카카오는 이번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대표 사퇴’ 카드를 꺼내 들었다. 무료 이용자를 포함해 모든 이해 관계자들에 대한 보상 방안을 검토하고, 서비스 인프라 투자도 약속했다. 

남궁훈 카카오 각자대표는 “카카오 서비스를 책임지는 대표로, 어느 때보다 책임을 통감한다”며 “카카오 쇄신을 위해 대표이사 자리를 내려놓고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자리를 맡아 부족한 부분을 책임져나가겠다”고 했다.

비대위를 출범시킨 카카오는 피해 신고 채널을 운영해 보상 대상 및 범위를 산정한다는 계획이다.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인프라 구축도 병행한다. 카카오는 4600억원을 투입해 내년 중 경기 안산에 자체 데이터센터를 완공할 예정이며, 시흥에도 오는 2024년 데이터센터를 착공한다. 이번 사고를 교훈 삼아 방화·내진과 같은 방재시설 구축에 힘쓰기로 했다.

사실상 전 국민이 사용하는 카카오톡 서비스처럼 국민의 의존도가 높은 기술과 서비스는 그에 상응하는 공적 책임의식 또한 높아야 한다. 

카카오는 M&A 전략을 통해 돈이 되는 사업에 전방위로 뛰어들면서 데이터센터 이원화 등 기본적인 투자에 소홀했고, 그 피해는 전 국민에 전가됐다. 이는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데이터센터에 집중 투자하고 재난 대비훈련도 철저히 하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그래서 민간 온라인통신사업자일지라도 일정 규모를 넘으면 국가기간통신사업자에 준하는 재해복구 설비를 갖추도록 제도화하자는 의견에 많은 사람들이 공감을 표하고 있는 것이다. 일상의 대화는 물론 교통·금융·쇼핑·공공서비스 등 모든 생활경제의 매개체인 카카오는 국가의 핵심 인프라이기 때문이다.

플랫폼에 문제가 생기면 국민 일상이 마비되고 전력, 통신, 금융 등 국가 안보에도 치명적일 수 있다. 안정적인 통신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정부의 컨트롤타워 역할 제고와 유사시 국민이 원활하게 소통을 이어갈 수 있는 ‘플랜B’를 미리 준비해야 한다. 다만, 과도한 규제로 자칫 기업 활력과 혁신까지 꺾는 우를 범해선 안될 것이다. 

카카오는 이번 사태를 서둘러 수습하고 필요한 보상안과 재발을 막을 근본 대책을 내놓는 게 급선무다. 이와 함께 ‘국민 디지털 서비스’로서의 책임을 다시 한번 돌아볼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무너진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