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장수시대의 진전과 노인복지
[금요칼럼] 장수시대의 진전과 노인복지
  • 관리자
  • 승인 2010.01.08 11:41
  • 호수 2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외성 경남대 사회복지학부 교수
한국인의 평균수명이 매우 빠르게 길어지고 있다. 최근 자료에 의하면 평균수명이 여성은 82세, 남성은 76세로 보도되고 있는데, 앞으로는 더욱 길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의료서비스의 향상, 경제적 수준의 상승으로 인한 식생활의 영양개선, 생활수준의 제고로 인한 건강 및 여가활동의 증가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장수시대로 일컬어질 정도로 평균수명이 길어지는 현상은 국가 사회의 발전으로 이해되지만, 한편으로는 길어진 노후생활에 적절한 대응이 문제이다. 이른바 ‘제3의 인생’으로서 노후생활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대책이 시급하게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길어진 노후생활에서 경제적으로 어려운 노인이 많아지고 건강의 약화로 인한 장애와 노인성 질환으로 고통 받는 노인이 증가하는가 하면, 외로움, 사회적 소외 등으로 인하여 우울증에 시달리고 자살하거나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노인범죄가 급속히 증가하는 현상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된다.

장수시대에 따른 종합적이고 장단기적인 노인복지대책이 실행되지 않은 채, 장수시대를 맞이하는 것은 오히려 고통 받는 노인들을 양산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예컨대 엊그제 발표된 한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치매노인이 50만명에 육박하고 있으며 치매노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12년에는 52만명, 2010년에는 75만명, 2030년에는 114만으로 급증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아직도 치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조기발견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더욱이 치매노인수가 급증하면서 노인의료비 및 부양비용 등의 사회적·가정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어,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장수시대를 맞이하면서 기존의 노인복지정책은 장단기적인 정책대안을 수립하는 한편 사회 취약계층으로서 문제를 가진 노인들에 대한 정책과 일반노인, 즉 중산층 이상의 건강하고 활력 있는 노인들에 대한 정책을 이원화해 입체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체로 현재의 노인집단은 취약계층의 노인들이 많은 한편 장래 노인이 될 연령계층은 지금의 노인집단에 비해 개인적·사회적 역량이 증진되고 있어 전혀 다른 대응책이 요청된다.

현재의 노인과 머지않아 노인집단으로 영입되는 노인계층을 대상으로 기존의 노인복지정책이 가진 한계를 단계적으로 향상시키는 한편 현재 건강하고 활력 있는 노인, 중산층 노인들이 문제에 봉착하지 않도록 예방적이고 적극적인 노인복지정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올해는 우리나라 1차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생)가 본격적으로 은퇴를 시작하는 시기이다.

2010년은 1955년생이 55세가 되는 해이고, 55~57세는 우리나라 대기업들의 퇴직연령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는 사회 전체적으로 중요한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노인복지정책과 관련하여 지적할 수 있는 점은 이들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개인적으로 노후준비가 미흡하다는 사실이고, 이는 곧 가정적·사회적 부담이 될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은퇴준비교육은, 시급하고 적절한 은퇴준비를 직장에서부터 할 수 있도록 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 대비하여 노인복지적 측면에서 관련 노인복지기관이나 사회복지기관에서 은퇴준비교육을 시행해야 한다.

기존의 은퇴준비는 거의 경제적인 내용이 대부분이지만 앞으로는 건강 및 의료, 주거, 여가, 사회생활 등 노후생활의 전반에 걸친 것을 내용으로 하여 개별적·지속적인 은퇴준비가 필요하다.

현재 국민연금공단을 위시하여 몇 개의 기업체에서 은퇴준비교육이 이뤄지고 있으나, 앞으로는 국가 정책적으로 모든 직장에서 생애주기에 따라 필요한 생애계획에 관한 준비는 물론 맞춤형 은퇴준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 장수시대의 도래에 따라 활력 있고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고, 또한 사회적으로도 유익한 활동을 노인들이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