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이용한 농사 ‘스마트팜’ 생산성 뛰어나
스마트폰 이용한 농사 ‘스마트팜’ 생산성 뛰어나
  • 이상연 기자
  • 승인 2015.05.04 09:47
  • 호수 46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농업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이 요즘 영농업계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시설 원격관리… 작업시간도 줄고 에너지 소비 ‘절감’
정부 스마트팜 보급 시작… 통신업계도 발빠른 서비스
전문가 “대량 보급까진 멀어… 시스템 설치비 더 낮춰야”

‘스마트팜’이 최근 영농업계의 화두로 떠올랐다. 스마트팜은 스마트폰 등 기기로 비닐하우스 등 시설의 원거리 관리가 가능하고, 에너지 소비도 낮출 수 있어 생산성이 높은 편이다. 또한 원격 관리 덕에 신체노동 시간이 줄어든다는 장점도 있어 고령의 시설 농업인들로부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전남 화순군 소재 ‘한울농장’의 비닐하우스들은 여느 농가와 다름없이 평범해 보이지만 안쪽에는 최신 통신장비들이 설치돼 있다. 토마토를 재배 중인 이곳은 2011년부터 ‘복합환경제어시스템’(스마트폰을 이용해 시설하우스 내 환경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통해 9918㎡(3000평)에 달하는 농장을 관리하고 있다.
배진수 한울농장 대표는 “그간 농장관리에 많은 시간을 쏟아야했는데 이 시스템 덕분에 수고를 크게 덜 수 있게 됐다”면서 “농장의 생산성이 40% 증가한 반면, 에너지 소비는 35%나 절감됐다”고 설명한다.
경기 이천의 ‘하일꽃농장’도 스마트팜 덕을 보고 있다. 이 농장도 원예하우스 관리의 상당부분을 스마트폰으로 한다. 9256㎡(2800평) 규모의 원예하우스 내부 온도·관수·습도·일산화탄소가 모두 원격으로 조절된다.
홍완식 하일꽃농장 대표는 “시설 구축 비용은 총 3000만원 가량으로, 주머니 사정에 비해 꽤 큰 액수였으나 후회하지 않는다. 복합환경제어시스템으로 2개월간의 노동 시간이 150시간에서 75시간으로 절감됐다”면서 “하우스의 환경과 더불어, 기상상황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요즘 영농업계의 트렌드는 농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스마트팜으로의 전환이다.
스마트팜은 온실 내의 환경정보와 생육정보 등을 데이터화해 시설 및 축사 작물의 최적 생육 설정관리는 물론 빅데이터를 통한 병해충 발생 예상까지 하는 ‘정밀농업’을 가능케 한다.
이런 장점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부터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축산부) 및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을 통해 스마트팜을 보급하기 시작했다. 현재까지 보급된 전국의 시설원예분야 스마트팜의 규모는 약 405ha 가량으로 집계됐다. 실제 스마트팜 도입 농가 면적은 이보다 더 많은 것으로 추산된다.
농축산부 관계자는 “스마트팜 도입으로 이전보다 생산성 23% 향상, 창조마을 9곳으로 확대, 농수산식품 수출액 100억달러 달성, 협약 25건 체결 등 성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6차산업(농산물 가공에서 유통·체험관광을 함께하는 산업) 창업자도 2013년 364명, 2014년 396명에서 올해 435명으로 증가할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한편 영농계가 정보통신기술을 도입하자 통신사들이 발 빠르게 농가로 뛰어들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은 올해 1월부터 영농가구 100곳을 스마트팜화 해 자동화시스템으로 해당 시설을 관리 중이다. 지난해 10월부터 SK와 에너지 분야 역량을 결합한 창조마을 시범사업을 추진해온 결과다. 현재 지능형 영상보안 시스템을 50곳에 설치 및 운영해 농작물 도난방지는 물론 마을지킴이 역할도 수행 중이다.
전남 신안군 임자도에는 KT의 제1호 ‘기가 아일랜드’ 시스템이 구축됐다. 이로써 시설농업 종사자들은 현장의 작물 생육환경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 작물 생육 데이터 수집 등이 가능해져 농업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노동력과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스마트팜의 확산을 위해선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지적한다.
지난 3월 25일 농촌진흥청에서 열린 ‘한국형 스마트팜 개발 방향과 전략 심포지엄’에서 관계자들은 “국내 스마트팜은 아직 의욕에 비해 관련 환경이 미성숙한 단계”라고 지적했다.
이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세한 팀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스마트팜 도입 비용은 아직까진 높은 편이며, 농촌지역 통신환경도 열악하다”면서 “국내 상용화 기술수준도 외국에 비해 낮아 고가의 외국산 제품을 선호하는 것이 현재 국내 농업계 정보통신기술 융합 산업의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또한 스마트팜 조성 환경 및 인력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박 진 정보화사업본부장은 “스마트팜, 즉 농업과 정보통신기술과의 접목에 대한 농업인의 인식 부족, 현장지원 가능한 전문인력 부족, 해당 기술의 표준화 미흡, 관련업체의 영세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전문가들은 개방화시대에 국내 농업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스마트팜 사업 도입이 불가피하다는데 입을 모았다. 대신 스마트팜의 현장 확산을 위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전문인력 양성과 기관 및 기업간의 기술협력 체계 구축, 기술 표준화를 통한 국내시장 활성화와 해외시장 진출, 농가교육을 비롯한 현장밀착형 지원체계 마련 등 스마트팜 시스템이 농산업 분야에 접목될 수 있는 산업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축산부 관계자는 “올해 스마트팜 관련 사업으로 스마트 그린하우스, 과수 재배관리, 지능형 축사관리 등을 추진 중인데, 이를 위해 시설컨설팅, 정보통신교육 관련 교육농장 운영, 사후 관리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