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데이터처 ‘2025년 사회조사 결과’ 발표
[백세시대 = 이한원 기자] 60세 이상 국민 5명 중 4명은 현재 본인과 배우자가 주로 생계를 책임지고 있으며, 10명 중 7명은 자녀와 따로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데이터처는 이런 내용의 ‘2025년 사회조사 결과’를 11월 11일 발표했다. 사회조사는 10개 부문을 2년 주기로 매년 5개 부문씩 조사하며, 올해는 복지·사회참여·여가·소득과 소비·노동 부문이 포함됐다.
국가데이터처는 지난 5월 14일부터 29일까지 전국 1만9000 표본 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3만4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60세 이상의 생활비 마련 방법은 본인·배우자 부담이 79.7%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자녀·친척 지원(10.3%), 정부·사회단체 지원(10.0%) 순이었다. 2023년보다 본인·배우자 부담은 증가했고, 자녀·친척 지원은 감소했다.
본인·배우자가 생활비를 마련하는 방법은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이 57.8%로 가장 많고 이어 연금·퇴직급여(31.0%), 재산소득(6.7%) 순이었다.
60세 이상의 72.1%는 현재 자녀와 따로 살고, 81.0%는 향후에도 따로 살고 싶어 했다. 자녀와 따로 살고 있는 비중은 2년 전보다 3.7%포인트, 향후에도 따로 살고 싶다는 비중은 2.2%포인트 각각 높아졌다.
자녀와 따로 사는 주된 이유는 본인 또는 배우자의 독립생활 가능(34.6%), 따로 사는 것이 편해서(34.0%)로 비슷했으며 그다음으로 자녀에게 부담될까봐가 18.1%였다.
60대 이상의 현재 노후 생활 방법은 소득활동 창출(34.4%), 취미 활동(32.2%), 가족돌봄 활동(10.9%) 순이었다. 특히 60~64세의 절반 가까이(48.9%)가 소득창출 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남자는 소득활동 창출, 취미 활동, 학습 및 자기개발 활동 비중이, 여자는 가족돌봄 활동, 종교 활동 비중이 각각 높았다.
19세 이상 중 71.5가 노후를 준비하거나 준비되어 있다고 응답했다. 노후 준비 방법은 국민연금 비중이 58.5%로 가장 컸다. 이어 예적금(16.9%), 직역연금(8.1%), 사적연금(5.0%), 퇴직급여(4.1%), 부동산운용(3.9%) 순이었다.
노후 준비에 있어 사회적으로 필요한 부분은 노후 소득지원(34.2%)과 의료요양보호 서비스(30.6%), 노후 취업 지원(23.8%)이 차지했다.
향후 늘려야 할 복지서비스는 고용(취업) 지원, 보건의료 건강관리, 소득 지원 순이었다. 공공시설은 보건의료시설, 공원·녹지·산책로, 사회복지시설 순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