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세시대 / 뉴스브리핑] 심상찮은 물가, 상승률 3%대 복귀… 과일·야채값 급등 이어 유가도 불안
[백세시대 / 뉴스브리핑] 심상찮은 물가, 상승률 3%대 복귀… 과일·야채값 급등 이어 유가도 불안
  • 배지영 기자
  • 승인 2024.03.11 09:14
  • 호수 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세시대=배지영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1%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과일·채소 값 폭등이 계속된 데다 국제유가 불안까지 겹친 영향이 크다. 

통계청이 3월 6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13.77(2020년 100 기준)로 전년동기 대비 3.1% 올랐다. 지난해 8~12월 3%를 웃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8%로 다소 주춤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선 것이다.

이처럼 물가상승률이 높아진 것은 과일값의 고공행진 탓이 크다. 사과에 이어 귤까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신선과일 물가는 지난달 41.2%나 뛰었다. 이는 1991년 9월(43.9%) 이후 32년여 만의 최고 상승률이다. 

사과는 1월에 56.8% 오른 데 이어 2월에도 71% 급등했다. 사과 가격이 급등한 주원인은 이상기온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다. 봄철 저온 피해로 착과 수가 줄어든 데다 여름철 집중 호우, 수확기 탄저병 발생 등 악재가 겹치면서 지난해 생산량이 30% 급감했기 때문이다. 

사과와 배는 국내에 병해충이 유입될 수 있다는 이유로 정부가 수입을 금지하고 있는 품목이다. 다음 수확 철까지 당분간 ‘金사과’ 사태가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사과가 금값이 되자 대체재인 다른 과일 가격도 크게 올랐다. 대표적 겨울철 과일인 귤은 지난 1월 39.8% 오른 데 이어, 2월엔 78.1%까지 급등해 상승 폭을 키웠다. 대체수요 증가와 노지 귤 생산량 감소가 귤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귤과 함께 겨울·봄 과일로 인기가 많은 딸기 역시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23.3% 올랐으며, 배 또한 61.6%로 큰 폭 상승했다.

채소류 가격도 만만치 않게 뛰고 있다. 과일은 대체 상품이 많고 소비를 줄일 수도 있는 반면 파·배추 등 채소는 대부분 음식에 들어가는 필수품에 가까워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더하고 있다.

채소류 물가지수는 전년동기 대비 12.2% 올랐다. 이는 지난해 3월(13.8%)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파(50.1%)와 토마토(56.3%)의 가격상승률이 특히 두드러졌다. 이는 대파 주요 산지인 전남 신안 지역 등에 겨울철 폭설 등 영향으로 대파 공급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배추 물가도 1년 전보다 21.0% 뛰었으며 시금치(33.9%), 가지(27.7%), 호박(21.9%) 등도 20% 이상 올랐고, 오이와 깻잎 가격은 1년 전보다 각각 12.0%, 11.9% 상승했다.

물가 둔화 흐름을 이끈 유가마저 불안한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석유류 물가 하락 폭은 1.5%에 그쳐 지난해 12월(5.4% 하락)과 올해 1월(5.0% 하락)보다 약해졌다. 수입 원유의 약 70%를 차지하는 두바이유 가격이 지난해 12월 배럴당 평균 77.2달러에서 1월 78.9달러, 지난달 81.2달러로 단계적으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는 과일과 채소 가격 안정을 위해 오는 4월까지 농·축·수산물 할인쿠폰을 600억원 규모로 발행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200억여원을 추가로 투입해 13개 과일·채소의 납품단가를 지원해 유통업체의 판매가격 인하도 유도할 방침이다.

수입 과일의 신속 통관 등 국내 도입 소요 시간을 단축시키고, 할당관세 등 관세 인하도 추진한다. 특히 귤의 일종인 만다린(관세율 50→10%)과 두리안(45→5%), 파인애플 주스(50→10%)에 대해 관세를 대폭 인하하기로 했으며, 봄 대파의 출하가 본격화하는 5월 전까진 수입 대파 3000톤에 대해서도 관세를 인하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 같은 대책이 물가 안정에 얼마나 기여할 지는 미지수다. 수입 상품이 국산 과일을 대체한다 해도 과일 가격 전반을 안정시키는 데는 역부족이어서다.

물가상승은 저소득 서민 가계에 치명적이다. 그런 만큼 민생대책의 최우선 순위를 물가 안정에 두고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정부의 더욱 과감한 물가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