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동력 50代를 살리자
성장동력 50代를 살리자
  • 관리자
  • 승인 2006.11.24 19: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장년층 고용안정·사회보장 방안 급선무

20년 뒤 우리나라 인구 5명 중 1명이 노인이라는 전망이 나온 가운데 예비노년층 50대가 위기일발의 상황에 처하면서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중심축이 흔들리고 있다.

 

노후준비는 미흡하기만 한데 조기퇴직 칼바람을 맞아 직장에서 설 자리를 잃고, 청년실업으로 놀고 있는 자녀의 뒷바라지에 전전긍긍하는 모습이 오늘날 50대의 자화상이다.

 

이에 따라 50대 중장년층에 대한 고용연장과 사회보장 방안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고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채용포털 사람인이 최근 직장인 1967명을 대상으로 회사가 정년을 보장하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65%가 ‘보장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회사 규정상의 정년퇴임 연령은 ‘56~60세’를 꼽은 응답자가 33.4%로 가장 많았지만 희망하는 정년퇴직 연령은 32.3%가 ‘61~65세’를 들어 큰 차이를 보였다.


최근 통계청 조사 결과에서도 우리나라 55세 이상 가운데 정년퇴직으로 직장을 그만둔 경우는 12%에 불과했고, 평균 퇴직 연령은 만54세로 나타났다.


앞으로 10~20년 뒤 노년세대에 편입되는 현 50대는 ‘사오정’(40~50대 정년퇴직기)과 ‘오륙도’(50~60대에 정년퇴직하면 도둑놈)라는 유행어의 주인공으로 떠올라 극심한 고용불안에 시달리면서 행복을 낙관할 수 없는 어두운 미래를 내다보고 있다.


호주의 경우 최근 고령근로자에 대한 기업의 수요가 넘쳐 호주인들은 40세에 은퇴하길 바라지만 60세가 넘어도 일해주길 바라는 기업이 많아 대다수 중장년층이 일을 놓지 못하는 것으로 현지 언론들은 보도하고 있다.


가장이 50대인 가정의 월평균 소득도 줄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 가구주 연령대별 최다 평균 소득을 기록했던 50대 초반(50~54세) 가정의 올해 월평균 가계소득은 339만9000원으로 40대 후반(356만원) 및 초반(341만8000원)보다 뒤처진 3위로 밀려났다.


소득이 가장 많은 이른바 ‘소득피크’가 50대 초반에서 40대 후반으로 하향 조정된 원인에 대해서는 조기퇴직으로 직장을 잃거나 저임금 비정규직으로 추락하는 50대가 늘어났기 때문이란 분석이 중론이다.


지난 8월 기준, 10~40대까지 전 연령층의 비정규직 근로자는 감소한 반면 50대 비정규직 근로자는 지난해 8월 현재 80만명에서 85만1000명으로 증가했다. 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도 54만3000명에서 61만1000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고령사회의 위기를 사회안정과 국가 경제발전의 기회로 역이용하기 위해서는 50대가 주축이 된 고령근로자의 전문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과 고용연장이 최우선이라는 지적이다.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연구본부 안순권 연구위원은 “50대 장년층의 실업은 가정파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기업의 고용여건을 개선하고, 사회적 일자리를 늘려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소득을 교육과 부동산에 집중 투자해 복지서비스 수요가 제자리걸음이고, 이로 인해 50대 장년층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회적 일자리 창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시니어 르네상스 시대의 도래’라는 보고서를 통해 “현재의 40~50대가 은퇴해 65세 이상 고령소비자 대열에 본격 합류하는 2010년 중반 이후에는 노인들이 새로운 소비주체로 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도 2010년 31조원에서 2020년 116조원으로 급증하고, 고용창출효과도 2010년 41만명에서 2020년 66만명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보고서는 “현 50대에 초점을 맞추어 정부는 고령자의 일상, 여가생활, 자산관리를 지원하는 한편 창업지원단이나 지원펀드를 조성하고, 기업은 고령자에 맞는 사업을 기획, 고령자의 참여를 통한 상품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충고하고 있다.

 장한형 기자 janga@100ssd.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