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성장 동력 약화로 국가채무 급증 우려”
“고령화, 성장 동력 약화로 국가채무 급증 우려”
  • 이다솜 기자
  • 승인 2013.11.15 10:54
  • 호수 39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경제연구원, 재정수지 분석한 보고서 발표

한국, 경기 관계없이 재정적자 만성화
복지수요 증가에 따라 복지재정 급증


인구 고령화와 성장 동력 약화로 재정수지 악화, 국가채무 급증이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는 미래세대의 세 부담을 가중시킬 것으로 예상돼 우려를 낳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준협 연구위원은 11월 10일 ‘우리나라 재정수지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한국 경제는 ‘재정적자 누적→국가채무 증가→이자부담 증가→재정적자 확대’의 악순환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국은 경기와 관계없이 재정적자가 만성화하는 모습이다.
정부가 관리재정수지를 발표하기 시작한 1988년부터 올해까지 26년 중 4년만 빼고 모두 재정적자를 기록했다. 정부는 올해 23조4000억원, 내년 25조9000억원에 달하는 적자재정을 편성했고, 2017년까지 재정적자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재정적자가 이어지면서 국민 부담은 커지고 있다.
개인의 가처분소득이 1988년 93조2000억원에서 지난해 707조3000억원으로 연 8.8% 증가하는 동안 국민부담(재정수입)은 21조1000억원에서 341조8000억원으로 연 11.9% 늘었다.
재정적자 누적으로 국가채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보다 2배 이상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명목 GDP는 1997년 506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1272조5000억원으로 연 6.3%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국가부채는 60조3000억원에서 443조1000억원으로 연 14.2% 급증했다.
연구원은 한국의 재정수지 특징을 △경제성장 둔화로 인한 국세수입 증가세 약화 △비과세·감면으로 인한 세입 감소 △복지관련 재정지출 급증 △성장 관련 재정지출 감소세로 전환 △의무지출 급증으로 인한 탄력적 재정운용 곤란 △균형재정 달성을 위한 정부 의지 미약 등 6가지로 요약했다.
저출산·고령화, 소득 양극화가 심화하고 국민의 복지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의 복지지출은 급증하고 있다.
특히 노인·청소년 분야 재정지출은 2013~2017년에 연 23.5 % 증가(4464억원→1조390억원)하고 공적연금은 연 10.2% 증가(3조3138억원→4조8786억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정부는 낙관적 전망에 기초한 중장기 재정운영계획 수립을 계속하고 있고, 여전히 균형재정 시점을 차기 정부로 미루고 있다는 지적이다.
연구개발(R&D), 산업, 사회간접자본(SOC) 등 성장과 관련된 재정지출 비중은 그동안 증가세를 보였지만 앞으로는 감소세로 전환할 예정이다.
연구원은 “재정적자 확대 요인을 완화하고 균형재정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