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간 연령’ 처음으로 40세 넘어… ‘나홀로 가구’는 500만 돌파
한국 ‘중간 연령’ 처음으로 40세 넘어… ‘나홀로 가구’는 500만 돌파
  • 배지영 기자
  • 승인 2016.09.09 14:28
  • 호수 5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청이 5년 만에 실시한 인구 주택 총조사에서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지난 9월 7일 발표한 ‘2015년 인구 주택 총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인구는 총 5107만 명으로 총 인구 ‘5000만 명 시대’를 열었다. 하지만 이 중 65세 이상 인구는 657만 명으로 고령인구 비중이 전체인구 대비 13.2%에 달했다. 이는 지난 2000년(7%) 보다 6.2%p나 높아진 수치로, 인구 5000만 명 돌파를 마냥 반가워할 수만은 없는 이유다.
반면, 지난해 유소년 인구(0~14세)는 총 691만 명으로 5년 전(788만 명)에 비해 97만 명이나 줄어들었다. 이는 고령인구의 비중이 유소년 인구의 턱밑까지 차올랐음을 의미한다.
통계청의 연령별 인구 분포 조사 결과를 보면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을 나타내는 노령화 지수가 1985년 14.5에서 2000년 35.0으로 높아진 뒤 지난해에는 95.1로 뛰어올랐기 때문이다.
이같이 저출산과 고령화는 한국인의 평균 연령을 급속히 높이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 한국인의 중위 연령 또한 41.2세로 처음 40대로 올라섰다. 전 국민을 나이순으로 일렬로 세웠을 때 중간점에 있는 사람의 나이가 40대가 됐다는 뜻이다. 행정구역상 면 단위에서의 중위 연령은 52.5세에 달했다.
특히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전남은 고령인구가 21.1%를 차지해 광역지자체 중 처음으로 고령인구 비율이 20% 이상에 달하는 초고령사회에 접어들었으며 전북(17.9%), 경북(17.8%), 강원(16.9%), 충남(16.3%) 등도 뒤를 따르고 있다. 대도시 또한 울산을 제외하고는 서울‧인천‧광주‧대전‧부산 등의 고령인구 비율이 모두 10%를 넘어섰다.
고령화와 관련해 가장 우려되는 점은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7%가 넘는 ‘고령화사회’에 진입했고, 2017년에는 14%가 넘는 ‘고령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더불어 2026년에는 고령인구 20%가 넘는 ‘초고령사회’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전체 인구 가운데 40‧50대 인구는 1649만2000명으로 전체의 33.2%를 차지했다. 40‧50대 인구가 늘어나면서 인구구조도 변모했다. 1960년에는 5세 미만 인구가 가장 많고 차츰 연령별로 비중이 적은 전형적인 피라미드형 인구 구조였다면 지난해에는 중간이 불룩 뛰어나온 항아리형 구조로 바뀐 것이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생산연령 인구(15~64세)는 올해를 정점으로 내년부터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고령 인구가 증가하는 것까지 감안하면 본격적인 인구절벽 현상이 현실화될 수 있는 것이다. 지난해 생산연령 인구는 3623만 명으로 2010년(3551만 명)보다 72만 명 늘었지만, 인구비중으로는 72.9%에 불과해 2010년(72.8%)보다 0.1%p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인구구조 변화는 생활양식에도 큰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무엇보다 1인 가구의 증가가 두드러진다. 1990년 102만1000가구에 그쳤던 1인 가구가 지난해 520만3000가구로 5배 이상 늘었다. 이는 전체 가구(1911만1000가구)의 27.2%에 달하는 수치다. 1인 가구가 가장 흔한 가구 형태로 나타난 것은 이번 인구조사에서 처음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1인 가구 중 30대 비중이 18.3%로 가장 높았고 70세 이상(17.5%), 20대(17.0%) 순이었다. 만혼‧비혼이 보편화되고 기대 수명 증가로 독거노인이 늘어난 결과다. 반면, 전형적인 가정의 모습으로 비춰졌던 ‘4인 가구’는 크게 줄었다. 4인 가구 비중은 1990년 29.5%에서 2015년 18.%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5인 이상 가구도 28.7%에서 6.4%로 줄었다.
이번에 확인된 인구구조 변화의 최대 문제는 그동안 계속해서 언급해 왔던 저출산과 고령화다. 출산은 제자리걸음인 상황에서 고령인구 비중이 높아질수록 우리 경제는 활력을 급속히 잃을 수밖에 없다.
정부는 저출산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올해부터 2020년까지 추진하는 ‘제3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을 통해 저출산 문제 해결에 108조원에 달하는 재정을 투입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지난 10년간 저출산 명목으로 투자된 예산이 80조가 넘는 데도 문제는 악화된 것을 보면 돈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님이 분명하다.
젊은이들이 취업과 결혼, 출산을 자연스럽게 거칠 수 있도록 사회적 분위기와 시스템을 만들어주고 여성·노인들이 더 많은 사회적 활동을 하도록 장을 넓혀야 한다. 무엇보다 저출산을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이고도 근본적인 해법을 만드는 동시에 출산, 교육, 고용, 연금 등 사회 전체 시스템을 고령화 시대에 맞게 다시 설계하고 대비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