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여는 고전의 향기[54]내 탓이오-속 깊은 충고
마음을 여는 고전의 향기[54]내 탓이오-속 깊은 충고
  • 권 경 열 한국고전번역원 성과평가실장
  • 승인 2018.04.27 16:42
  • 호수 6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 탓이오-속 깊은 충고

 

전성지가 부안의 유배지로 가는 것을 전송하며

[送全性之赴扶安謫所]

눈얼음 산길이라 말 타고 넘기 힘들 텐데

바람조차 쌀쌀하여 북방 날씨처럼 차네

매사가 장자후 때문인 것만은 아니니

자양의 글이 조용할 때 읽기 좋으리라

雪山氷坂馬行難 (설산빙판마행난)

風日凄凄朔氣寒 (풍일처처삭기한)

萬事不由章子厚 (만사불유장자후)

紫陽書好靜時看 (자양서호정시간)

- 이준(李埈, 1560∼1635), 『창석집(蒼石集)』 권2 「시(詩)」

**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문신인 창석(蒼石) 이준(李埈)의 시이다.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선조·인조의 국난 때에 의병을 조직하는 등 정치와 국방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남인의 여론 형성에도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성지(性之)는 문신인 전이성(全以性, 1578~1646)의 자(字)이다. ≪광해군일기≫ 2년 12월 2일 기사에 고향 용궁에 유배되어 있던 그를 다른 곳으로 이배(移配)시키라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시는 그 즈음에 지은 듯하다.

앞 두 구에서 유배길 환경이 극도로 열악한 것을 말함으로써, 상대가 겪을 고초를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표하였다. 물론 이면에는 전이성이 이런 처지에 몰리게 된 것을 억울해하며 누군가를 원망할 수도 있으리라는 복선이 깔려 있다.

제3구인 전구(轉句)에서 만약 상대를 위로하는 내용으로 받아서 전개했다면 이 시는 평범한 송별시에 그쳤을 것이다. 그러나 시인은 아픈 충고를 하였고, 그게 이 시를 힘이 있게 만들었다. 당시 전이성은 과거(科擧)의 시관(試官)으로 참여했다가 점수 조작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를 당했다. 이 때문에 시인은 이번 유배는 본인의 탓도 있으니 차분히 자양(紫陽), 즉 주자(朱子)가 남긴 글들을 읽으며 자신을 돌아보기를 권하였다.(중략)

제3구의 ‘장자후 때문이 아니다’라는 말은 유래가 있다. 장자후는 송(宋)나라 때의 권신인 장돈(章惇)을 가리킨다. 폐지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을 다시 시행하면서 이에 반대하는 사마광(司馬光), 정이(程頤), 소식(蘇軾) 등 이른바 원우당인(元祐黨人)들을 핍박하여 후대 유학자들에게는 만고의 소인배로 낙인이 찍힌 인물이다.

당시 범순인(范純仁) 역시 그에게 밉보여 먼 지방으로 좌천되었는데, 따라가던 자제들이 연신 장돈 탓을 하며 원망을 하였다. 범순인은 자제들이 그런 말을 할 때마다 엄하게 제지하였다. 마침 뱃길로 가는 도중에 배가 뒤집어져 물에 빠지게 되자, 범순인은 자제들을 돌아보며 말했다. “이것도 장돈(章惇)이 한 짓이더냐.”(중략)

자신이 잘못하고도 습관적으로 남을 원망하고, 친구사이라도 진실한 충고를 하기가 어려운 현실에서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시이고, 고사이다.     

권 경 열 한국고전번역원 성과평가실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